맨위로가기

말레이시아의 경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말레이시아 경제는 믈라카 해협을 통제하는 지리적 이점을 바탕으로 국제 무역이 중요한 역할을 해왔으며, 한때 주석, 천연 고무, 팜유 생산의 선두 국가였다. 1980년대 제조업 중심의 경제로 전환하면서 아시아의 네 마리 용 경제를 모델로 삼았고, 1980~90년대에는 7% 이상의 GDP 성장률과 낮은 인플레이션을 달성했다. 2023년에는 1인당 명목 GDP 11,648.70달러로 신흥공업국으로 분류되며, 2022년 가구 소득은 월 8,479링깃으로 증가했다. 말레이시아는 2020년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경제적 타격을 입었지만, 2023년 신 산업 마스터 플랜(NIMP) 2030을 발표하여 제조업 부문 성장과 거시 경제 목표 달성을 추진하고 있다. 말레이시아는 또한 국제 무역, 경제 정책, 통화 정책, 차별 시정 조치, 보조금 및 가격 통제, 국부 펀드, 정부의 영향력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경제가 영향을 받고 있으며, 전기 및 전자, 태양광, 자동차, 건설, 방위 산업, 농업, 관광, 의료 관광, 제조업, 천연 자원, 무역, 투자, 인프라, 교통, 에너지 등 다양한 산업을 보유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말레이시아의 경제 - 말레이시아 증권거래소
    말레이시아 증권거래소는 1930년 싱가포르 증권 중개인 협회에서 시작하여 1960년 말레이 증권거래소로 공식 설립되었고, 싱가포르 증권거래소와의 분리 및 명칭 변경을 거쳐 현재 세 개의 시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2024년 5월 기준 시가총액 2조 링깃을 돌파하는 등 말레이시아 경제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말레이시아의 경제 - 말레이시아 링깃
    말레이시아 링깃은 '톱니 모양'을 뜻하는 말레이어에서 유래한 말레이시아의 통화로, 말라야-영국령 보르네오 달러를 대체하여 도입되었으며 주화와 지폐로 발행되고, 한때 미국 달러에 고정되기도 했으나 변동환율제로 전환되었다.
말레이시아의 경제
기본 정보
쿠알라룸푸르, 말레이시아의 수도이자 가장 큰 도시
쿠알라룸푸르, 말레이시아의 수도이자 가장 큰 도시
통화링깃 (MYR, RM)
소속 경제 공동체APEC
ASEAN
IOR-ARC
WTO
JETRO
RCEP
CPTPP
EAS
AFTA
경제 수준개발
고소득 경제
2024년 추정 인구34,100,000명
경제 규모 (2024년 추정치)
명목 GDP4,395억 달러
PPP GDP1조 3,700억 달러
명목 GDP 순위 (2024년)36위
PPP GDP 순위 (2024년)29위
경제 성장률2023년: 3.6%
2024년 (추정): 5.1%
2025년 (추정): 5.0%
1인당 명목 GDP (2025년 추정)15,123 달러
1인당 PPP GDP (2024년 추정)41,020 달러
1인당 명목 GDP 순위 (2025년)63위
1인당 PPP GDP 순위 (2025년)50위
GDP 구성 요소 (2023년 추정)가계 소비: 60.4%
정부 소비: 12.0%
고정 자본 투자: 19.2%
재고 투자: 3.3%
상품 및 서비스 수출: 68.4%
상품 및 서비스 수입: -63.4%
산업별 GDP 구성 (2023년 추정)농업: 7.7%
산업: 37.7%
서비스: 53.5%
인플레이션 (2024년)2.67%
빈곤율 (최신 추정치)2021년 추정: 6.2%
2021년 기준 하루 $6.85 미만: 2.3%
지니 계수 (2021년)40.7
인간 개발 지수 (HDI) (2022년)0.807 (매우 높음, 58위)
불평등 조정 HDI (2025년, 59위): 0.692
기업 환경 평가 (2022년)12위 (매우 용이)
노동력 (2023년)17,307,639명
고용률 (2024년)75.1%
산업별 고용 구성 (2022년)농업: 10.0%
산업: 28.13%
서비스: 61.87%
실업률 (2025년 추정)2.925%
주요 산업전자 제품
반도체
마이크로칩
집적 회로
천연 고무
올레오케미컬
자동차
광학 기기
제약
의료 기기
제련
목재
펄프
이슬람 금융
석유
액화 천연 가스
석유화학
통신
수출액2024년 9월 기준: 2,700억 달러
2023년: 3,100억 달러
2022년: 3,520억 달러
주요 수출 품목전기 및 전자 제품
팜유 및 팜유 기반 농산물
석유 제품
화학 제품
기계, 장비 및 부품
금속 제품 제조
광학 및 과학 장비
액화 천연 가스
팜유 기반 제조 제품
가공 식품
주요 수출 대상국 (2024년)싱가포르: 17.38%
미국: 14.60%
중국: 13.30%
홍콩: 6.77%
일본: 5.91%
수입액2024년 9월 기준: 2,480억 달러
2023년: 2,640억 달러
2022년: 2,940억 달러
주요 수입 품목전기 및 전자 제품
석유 제품
기계, 장비 및 부품
화학 제품
금속 제품 제조
원유
운송 장비
가공 식품
광학 및 과학 장비
철강 제품
주요 수입 대상국 (2024년)중국: 30.29%
싱가포르: 16.18%
미국: 14.18%
타이완: 13.86%
일본: 10.23%
경상수지 (2024년)131억 4,800만 달러
외국인 직접 투자 (FDI) (2023년 추정)1,940억 달러
총 외채 (2022년 3월 31일 추정)2,739억 달러
GDP 대비 부채 비율 (2024년)66.86%
GDP 대비 재정 수지 (2024년)-4.36%
수입 (2024년 추정)664억 4천만 달러
지출 (2024년 추정)839억 2천만 달러
경제 원조 (2005년 추정)4,050만 달러
국내 자본 (2008년 12월 31일)2,467억 달러
외환 보유고 (2024년 9월)1,197억 달러
신용 등급Standard & Poor's: A- (전망: 안정적)
Moody's: A3 (전망: 안정적)
Fitch: BBB+ (전망: 안정적)
월평균 총 급여 (2022년)RM3,212 / US$729

2. 역사

믈라카 해협을 통제하는 세 국가 중 하나로서, 국제 무역은 말레이시아 경제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41] 한때 세계 최대의 주석, 천연 고무, 팜유 생산국이었다.[42] 제조업은 GDP의 40% 이상을 차지하며 국가 경제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43]

1980년대에 말레이시아는 아시아의 네 마리 용 경제 (홍콩, 싱가포르, 대한민국, 타이완)을 모방하기 시작하여 광업농업에 의존하는 경제에서 제조업에 더 의존하는 경제로 전환하기 위해 노력했다. 1980년대 이후 산업 부문이 말레이시아의 성장을 주도했다. 높은 수준의 투자가 이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일본의 투자를 통해 중공업이 번창했고, 몇 년 안에 말레이시아의 수출은 국가의 주요 성장 동력이 되었다. 말레이시아는 1980년대와 1990년대에 7% 이상의 GDP 성장률과 낮은 인플레이션을 일관되게 달성했다.

1991년, 마하티르 모하맛 총리는 말레이시아가 2020년까지 자급자족하는 산업 국가가 된다는 이상인 비전 2020을 제시했다.[44] 2013년, 탄 스리 노 모하메드 야콥 총리실 장관은 말레이시아의 경제 성장이 일정하게 유지되거나 증가하면 2018년에 선진국 지위에 도달할 수 있다고 말했다.[45]

말레이시아는 20세기 후반에 경제 호황을 경험하고 급속한 발전을 겪었으며, 2023년 1인당 명목 GDP가 11,648.70달러로 신흥공업국으로 간주된다.[47][48] 2009년, 구매력 평가(PPP) 기준 GDP는 3,785억 달러였고, 1인당 GDP(PPP)는 13,468.00달러로 2023년 수치의 약 3분의 1이었다.[50]

2022년, 정부가 실시한 가구 소득 조사에 따르면 말레이시아에는 790만 가구가 있으며, 각 가구에는 평균 3.8명의 구성원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말레이시아의 평균 가구 소득은 2012년 5,000 링깃에서 69.6% 증가한 월 8,479 링깃이었다.[51]

HSBC의 2012년 보고서에 따르면, 말레이시아는 2050년까지 GDP 1조 2,000억 달러(2000년 달러 기준)와 1인당 GDP 29,247달러(2000년 달러 기준)로 세계 21번째로 큰 경제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52] 크레디트 스위스의 전무 이사인 빅토르 슈베츠는 "말레이시아는 선진국이 되기 위한 모든 적절한 조건을 갖추고 있다."라고 말했다.[52]

2020년 초, 말레이시아 경제는 코로나19 범유행으로 심각한 타격을 입었다. 2020년 12월 초, 유행병 기간 동안 피치 레이팅스는 국가 신용 등급을 A−에서 BBB+로 강등했다. 그러나 국가의 코로나19 경기 침체는 2022년 4월 1일 오미크론 감염률이 풍토병 단계를 앞두고 계속 감소하면서 종료되었다. 2023년, 말레이시아 정부는 국가의 제조업 부문이 성장하고 거시 경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지침인 신 산업 마스터 플랜(NIMP) 2030을 발표하여, 2030년까지 말레이시아 GDP에 대한 기여도를 5,875억 링깃(3,641억 링깃에서), 고용 인원을 330만 명(270만 명에서), 중위 소득을 4,510 링깃(1,976 링깃에서)으로 늘리는 것을 목표로 한다.[46]

2. 1. 경제 발전

믈라카 해협을 통제하는 세 국가 중 하나로서, 국제 무역은 말레이시아 경제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41] 한때 세계 최대의 주석, 천연 고무, 팜유 생산국이었다.[42] 제조업은 GDP의 40% 이상을 차지하며 국가 경제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43]

1980년대에 말레이시아는 아시아의 네 마리 용 경제 (홍콩, 싱가포르, 대한민국, 타이완)을 모방하기 시작하여 광업농업에 의존하는 경제에서 제조업에 더 의존하는 경제로 전환하기 위해 노력했다. 1980년대 이후 산업 부문이 말레이시아의 성장을 주도했다. 높은 수준의 투자가 이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일본의 투자를 통해 중공업이 번창했고, 몇 년 안에 말레이시아의 수출은 국가의 주요 성장 동력이 되었다. 말레이시아는 1980년대와 1990년대에 7% 이상의 GDP 성장률과 낮은 인플레이션을 일관되게 달성했다.

1991년, 마하티르 모하맛 총리는 말레이시아가 2020년까지 자급자족하는 산업 국가가 된다는 이상인 비전 2020을 제시했다.[44] 2013년, 탄 스리 노 모하메드 야콥 총리실 장관은 말레이시아의 경제 성장이 일정하게 유지되거나 증가하면 2018년에 선진국 지위에 도달할 수 있다고 말했다.[45]

말레이시아는 20세기 후반에 경제 호황을 경험하고 급속한 발전을 겪었으며, 2023년 1인당 명목 GDP가 11,648.70달러로 신흥공업국으로 간주된다.[47][48] 2009년, 구매력 평가(PPP) 기준 GDP는 3,785억 달러였고, 1인당 GDP(PPP)는 13,468.00달러로 2023년 수치의 약 3분의 1이었다.[50]

2022년, 정부가 실시한 가구 소득 조사에 따르면 말레이시아에는 790만 가구가 있으며, 각 가구에는 평균 3.8명의 구성원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말레이시아의 평균 가구 소득은 2012년 5,000 링깃에서 69.6% 증가한 월 8,479 링깃이었다.[51]

HSBC의 2012년 보고서에 따르면, 말레이시아는 2050년까지 GDP 1조 2,000억 달러(2000년 달러 기준)와 1인당 GDP 29,247달러(2000년 달러 기준)로 세계 21번째로 큰 경제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52] 크레디트 스위스의 전무 이사인 빅토르 슈베츠는 "말레이시아는 선진국이 되기 위한 모든 적절한 조건을 갖추고 있다."라고 말했다.[52]

2020년 초, 말레이시아 경제는 코로나19 범유행으로 심각한 타격을 입었다. 2020년 12월 초, 유행병 기간 동안 피치 레이팅스는 국가 신용 등급을 A−에서 BBB+로 강등했다. 그러나 국가의 코로나19 경기 침체는 2022년 4월 1일 오미크론 감염률이 풍토병 단계를 앞두고 계속 감소하면서 종료되었다. 2023년, 말레이시아 정부는 국가의 제조업 부문이 성장하고 거시 경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지침인 신 산업 마스터 플랜(NIMP) 2030을 발표하여, 2030년까지 말레이시아 GDP에 대한 기여도를 5,875억 링깃(3,641억 링깃에서), 고용 인원을 330만 명(270만 명에서), 중위 소득을 4,510 링깃(1,976 링깃에서)으로 늘리는 것을 목표로 한다.[46]

2. 2. 경제 정책

말레이시아는 2015년 경제 경쟁력 순위에서 인구 2천만 명 이상의 국가 중에서는 호주, 영국, 한국, 일본보다 높은 5위를, 전체 순위로는 14위를 기록했다.[215][216] 세계은행의 2013년 6월 보고서에 따르면, 말레이시아는 비즈니스 용이성 지수에서 세계 6위를 차지했으며, 신용 획득(1위), 투자자 보호(4위), 국경을 넘나드는 무역(5위) 등에서 강점을 보였다.[217] 반면 건축허가(43위) 처리 등은 약점으로 지적되었다.[218] 말레이시아는 투자자 보호와 관련하여 공개 범위, 이사 책임, 주주 소송 등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으나, 싱가포르, 홍콩, 뉴질랜드에는 뒤졌다.[219]

2016년 세계은행의 '비즈니스 용이성' 보고서에서 말레이시아는 세계 18위, 동남아시아(SE 아시아) 2위를 차지하여 싱가포르에는 뒤졌지만, 태국(세계 49위)과 인도네시아(세계 109위)를 앞섰다.[220] 또한, 말레이시아는 MSC(멀티미디어 슈퍼 코리더) 기구를 통해 기술 기반 기업에 세금 혜택을 제공한다.[221][222] 2015년 포린 폴리시 매거진이 발행한 기준 수익성 지수(BPI)에서 말레이시아는 외국인 투자자들에게 6번째로 매력적인 국가로 평가되었다.[223]

말레이시아 정부는 기업 친화적인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간소화"를 의미하는 PEMUDAH라는 특별 태스크 포스를 설치했다.[224] PEMUDAH는 외국인 고용 규제 완화, 토지 이전 시간 단축, 기업의 설탕 저장 한도 증가 등의 정책을 추진했다.[225] 이러한 노력은 비즈니스 용이성 지수 순위 상승으로 이어졌다. 2020년 글로벌 혁신 지수에서 말레이시아는 33위를 기록했는데, 이는 2019년의 35위에서 상승한 것이다.[226][227][228][229]

2. 3. 최근 동향

3. 경제 정책

세계은행의 2013년 6월 보고서에 따르면, 말레이시아는 비즈니스 용이성 지수에서 세계 6위를 차지했으며, 신용 획득(1위), 투자자 보호(4위), 국경을 넘나드는 무역(5위) 등에서 강점을 보였다.[217] 반면 건축허가(43위) 처리 등은 약점으로 지적되었다.[217] 이 조사에서 말레이시아는 싱가포르, 홍콩, 뉴질랜드에 뒤쳐졌다.[219] 2015년에는 세계에서 가장 경쟁력 있는 나라 중 하나로, 인구 2천만 명 이상의 나라들에서는 호주, 영국, 한국, 일본보다 높은 14위, 5위를 차지했다.[215][216]

세계은행의 2016년판 '비즈니스 용이성' 보고서에 따르면 말레이시아는 싱가포르에 이어 세계 18위, 동남아시아 2위를 차지했지만, 태국(세계 49위)과 인도네시아(세계 109위)를 앞섰다.[220] 2015년, 포린 폴리시 매거진이 발행한 기준 수익성 지수(BPI)에서 외국인 투자자들에게 6번째로 매력적인 국가였다.[223]

말레이시아 정부는 사업을 촉진하기 위해 특별 태스크 포스인 PEMUDAH(말레이어로 "간소화"를 의미)를 설치하여 보다 기업 친화적인 환경을 조성하고 있다.[224] 주요 내용으로는 외국인 고용 규제 완화, 토지 이전 시간 단축, 기업에 대한 설탕 저장 한도 증가 등이 있다.[225]

2016년 말레이시아 국세청은 자본금 250만 링깃을 초과하는 기업에 대해 실효세율을 24%로 낮췄고, 중소기업은 19%이다.[230] 말레이시아 정부는 또한 판매 및 서비스 세금(SST)과 부동산 세금과 같은 정부 세금을 부과한다. SST의 현재 비율은 6%이며 재산 처분은 부동산을 보유하는 기간 일정에 따른다.[231]

말레이시아는 2020년 글로벌 혁신 지수에서 33위를 차지했는데, 이는 2019년의 35위에서 상승한 것이다.[226][227][228][229]

3. 1. 통화 정책

1997년 아시아 금융 위기 이전, 말레이시아 링깃은 국제 통화로 자유롭게 거래되었으며, 미국 달러당 2.50 링깃에 거래되었다.[197] 그러나 투기 행위로 인해 몇 주 만에 달러당 4.10 링깃까지 가치가 하락했다.[197] 이에 말레이시아 국립은행은 자본 통제를 시행하여 링깃 유출을 막고, 달러당 3.80 링깃으로 고정했다.[197] 여행자는 1만 링깃 이상을 국외로 반출할 경우 중앙은행에 신고해야 했다.[197]

2005년 7월, 중화인민공화국이 변동환율제를 채택한 지 몇 시간 후, 말레이시아는 고정환율제를 폐지하고 변동환율제를 도입했다.[197] 링깃은 2008년 3월 달러당 3.18 링깃, 2011년 5월 달러당 2.94 링깃까지 강세를 보였다.[197] 말레이시아 국립은행은 자본 통제 조치를 점진적으로 완화했지만, 정부는 링깃이 준비되면 국제화할 것이라고 밝혔다.[198]

말레이시아 국립은행은 익일 정책 금리(OPR)를 정책 수단으로 사용하여 금리 목표치를 설정하고, 이를 통해 단기 은행 간 금리를 조정하여 인플레이션과 경제 성장에 영향을 미친다.[198] 2020년 3월 10일, 링깃은 미국 달러당 4.19 링깃에 거래되었다.[203] 2024년 9월 현재 링깃은 미국 달러당 4.12 링깃으로 거래되었으며,[79] 이는 2024년 2월에 기록된 달러당 4.80 링깃에서 16.5% 상승한 수치이다.

1997년 아시아 금융 위기 당시 마하티르 모하맛 총리의 결정에 따라 링깃에 대한 자본 통제가 시행된 이후, 1998년 9월부터 링깃은 국제화되지 않았다.[81] 최근 몇 년간 말레이시아 중앙은행은 자본 통제 규정을 일부 완화하기 시작했지만, 링깃은 여전히 국제적으로 거래되지 않는다.[83] 2010년 9월, 나집 툰 라작 당시 총리는 링깃 역외 거래 허용 가능성을 언급하며, 경제에 도움이 된다면 규칙과 규정을 마련하여 시행할 수 있다고 밝혔다.[84]

3. 2. 차별 시정 조치

툰 압둘 라자크 총리는 1969년 5.13 사건 직후 차별 시정 조치 정책인 신 경제 정책(NEP)을 시행했다.[55] 이 사건 이전에는 말레이인의 빈곤율이 매우 높았고(65%), 특히 당시 경제의 74%를 장악하고 있던 중국인에 대한 인종 간 불만이 컸다.[56][57] NEP를 통해 다수인 부미푸트라에게 주택 개발, 장학금 입학, 상장 회사 소유 등에서 우선권과 특별 특혜가 주어졌다.

NEP는 1971년에 말레이시아 경제의 30%를 말레이인에게 할당하고, 주로 부미푸트라의 기업 소유를 장려하여 말레이인들 사이의 빈곤을 근절하는 것을 목표로 만들어졌다. 이 프로그램 시행 40년 후인 2010년 부미푸트라의 지분 소유는 1970년 2.4%에서 23%로 증가하여 1,677억 링깃의 가치를 기록했다.

NEP는 과두 정치를 만들고 '보조금 심리'를 조장한다는 비판을 받았다.[58] 국민정의당 및 민주행동당과 같은 정당들은 인종에 관계없이 모든 말레이시아인에게 평등한 새로운 정책을 제안했다.[59] 2008년 민주행동당이 페낭주에서 선출되었을 때, "…족벌주의, 부패 및 시스템적인 비효율성"을 조장한다며 NEP를 폐지하겠다고 발표했다.[60]

뉴사우스웨일스 대학교의 경제학 교수이자 한때 말레이시아 재무부 고문이었던 볼프강 카스퍼는 NEP를 비판하며 "NEP의 지원은 말레이인들을 게으르고 부패하며 오만하게 만든다. 최악의 경우, 그들을 가난하게 만든다."라고 말했다. 그는 또한 소외된 빈곤층의 소득 수준을 높이기 위해 교육에 대한 동등한 접근을 제공하는 대신 현금 지원과 재정 지원을 제공하는 연방 정부를 비판했다.

2009년 4월 21일, 총리 나집 라자크는 30% 부미푸트라 요건을 폐지하여 27개 서비스 부문의 자유화를 발표했다. 이 조치는 정부가 경제의 서비스 부문에 대한 투자를 늘리기 위한 노력으로 여겨졌다. 총리에 따르면, 더 많은 경제 부문이 자유화될 것이다.[61]

2009년 6월 30일, 총리는 부미푸트라 지분 할당량 해체 및 말레이시아 기업의 외국인 지분 소유를 감시하는 외국인 투자 위원회의 지침 폐지를 포함한 추가적인 자유화 조치를 발표했다. 그러나 말레이시아에 상장하려는 모든 말레이시아 회사는 여전히 부미푸트라 투자자에게 공개 주식의 50%를 제공해야 한다.[62]

3. 3. 보조금 및 가격 통제

말레이시아 정부는 가격을 낮게 유지하기 위해 많은 필수 품목에 보조금을 지급하고 가격을 통제한다. 팜유, 식용유, 휘발유, 밀가루, 빵, 쌀 그리고 다른 필수품들의 가격은 생활비를 낮게 유지하기 위해 시장가격으로 유지되어 왔다.[199] 2009년 기준으로, 정부 지출의 22%가 보조금이었고, 휘발유 보조금만 12%를 차지했다.[200] 2022년 기준으로 보조금에 대한 정부 지출은 703억 링깃(159억 6천만 달러)에 달했으며, 연료에만 520억 링깃(118억 달러) 또는 전체 보조금의 74%가 사용되었다.[64]

2010년 이래로, 정부는 정부 재정을 개선하고 경제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연료와 설탕에 대한 일련의 보조금 삭감을 통해 말레이시아의 보조금 제도를 점진적으로 개혁해왔다. 그 결과, 2014년 12월, 정부는 공식적으로 모든 연료 보조금을 종료하고 당시 저유가를 이용하여 '관리 유동성' 제도를 시행하여[201], 잠재적으로 연간 200억 링깃(59억 7천만 달러)을 절약할 수 있었다.[202]

2024년 6월 10일 말레이시아 정부는 이전에 재도입했던 디젤 연료에 대한 일괄 보조금을 종료했다. 대신, 현금 지원이 자격을 갖춘 개인에게 직접 지급되거나 적격 물류 차량에 플릿 카드가 지급되는 보다 선택적이고 표적화된 보조금이 시행되었다.[67] 휘발유 보조금 폐지 계획은 아직 발표되지 않았지만 2025년에 시행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보조금 철수는 소득 상위 15%를 대상으로 하며, 나머지 85%는 현 상태를 계속 유지할 것이다.[68]

3. 4. 국부 펀드

정부는 국내 기업과 해외 기업에 투자하는 여러 국부 펀드를 소유하고 운영하고 있다. 그러한 펀드 중 하나는 1993년에 설립되었으며, 2023년 12월 31일 기준 자산 규모가 1,262억 링깃(274억 6천만 달러)인 카자나 나시오날 베르하드(Khazanah Nasional Berhad)이다.[69] 이 펀드는 CIMB, UEM 그룹(UEM Group), 텔레콤 말레이시아(Telekom Malaysia) 및 Axiata, 말레이시아 공항(Malaysia Airports) 및 말레이시아 항공(Malaysia Airlines), 테나가 나시오날(Tenaga Nasional) 등 말레이시아의 주요 기업에 투자한다.[70]

말레이시아 정부가 소유한 또 다른 펀드는 2024년 3월 31일 기준 자산 규모가 1조 1,900억 링깃(2,516억 1천만 달러)인 고용인 연기금(Employees Provident Fund)으로, 이 중 해외 투자가 총 자산의 38%를 차지한다.[71] 이는 아시아에서 4번째, 세계에서 13번째로 큰 연기금이다.[72] 카자나 나시오날과 마찬가지로 EPF는 RHB 뱅크(RHB Bank)와 같은 말레이시아의 여러 주요 기업에 투자하고 소유하고 있다.[73] EPF의 투자는 여러 부문에 걸쳐 다양화되어 있지만, 투자금의 거의 40%가 서비스 부문에 있다.[74]

퍼모달란 나시오날 베르하드(Permodalan Nasional Berhad)는 말레이시아 정부가 통제하는 또 다른 주요 펀드 매니저이다. 이 펀드는 말레이시아인, 경우에 따라서는 부미푸트라(Bumiputeras)에게만 개방되는 아마나 사함 부미푸트라(Amanah Saham Bumiputera) 및 아마나 사함 와와산 2020(Amanah Saham Wawasan 2020)과 같은 자본 보장(capital guarantee) 뮤추얼 펀드를 제공한다.[75]

3. 5. 정부의 영향력

연방 정부는 독립 이후 5개년 개발 계획을 통해 국가의 경제 방향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민간 기업과 소유권을 장려한다.[76] 경제는 카자나 나시오날(Khazanah Nasional) Berhad, 고용연금 (Employees Provident Fund) 및 페르모달란 나시오날 Berhad와 같은 경제 기획 기관 및 정부 관련 국부 펀드를 통해 정부의 영향을 받는다.

말레이시아 계획이라고 불리는 정부의 개발 계획은 1950년 영국 식민 통치 시대에 시작되었으며, 현재 제12차 말레이시아 계획이 진행 중이다.[76] 이 계획은 경제의 특정 부문에 선택적으로 투자하고 해당 부문을 지원하기 위한 인프라를 구축하여 경제 성장을 가속화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76] 예를 들어, 현재의 국가 계획에서는 경제적 역량 강화 및 유지, 환경 지속 가능성 및 사회 재설계를 위한 전략으로 구성된 국가의 세 가지 주요 측면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77]

카자나 나시오날(Khazanah Nasional) Berhad, 고용연금 및 페르모달란 나시오날 Berhad와 같은 정부 관련 투자 기구는 말레이시아 경제의 주요 부문에 있는 회사에 투자하고 소유하고 있다.

4. 산업

말레이시아의 과학기술은 과학기술혁신부에서 관할한다. 말레이시아는 반도체 장치, 전기 장치, IT 및 통신 제품의 세계 최대 수출국 중 하나이다.[85]

말레이시아의 산업 부문은 2014년 GDP의 36.8%를 차지하며, 2012년에는 노동력의 36%를 고용했다. 산업 부문은 주로 전자 산업, 자동차 산업 및 건설 산업에 의해 기여되었다.

==== 전기 및 전자 산업 ====

전기 및 전자(E&E) 산업은 말레이시아 제조업 분야의 선도적인 부문으로, 국가의 수출과 고용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E&E 산업은 전 세계 후공정 반도체의 13%를 생산하며, 국가 수출 생산량의 40%를 차지하고 2023년 GDP의 약 5.8%에 기여했다.[116] 말레이시아는 모바일 기기(스마트폰, 태블릿), 데이터 저장 장치(클라우드 컴퓨팅, 데이터 센터), 광전자공학(광학, 광섬유, LED) 및 임베디드 기술(집적 회로, 인쇄 회로 기판, LED)의 글로벌 수요 증가로 혜택을 보고 있다.[117]

이 하위 부문에 속하는 제품/활동에는 반도체 소자, 수동 소자, 인쇄 회로 기판 및 미디어, 기판, 커넥터와 같은 기타 부품이 포함된다.

전기 부품 하위 부문 내에서 반도체 소자는 전기 및 전자 산업 수출의 주요 기여 업체이다. 2013년 반도체 소자 수출액은 1,111억 9천만 링깃으로 전체 전기 및 전자 제품 수출의 47%를 차지했다.

말레이시아는 인텔(Intel), AMD, 프리스케일 반도체(Freescale Semiconductor), ASE(Advanced Semiconductor Engineering), 인피니언(Infineon),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STMicroelectronics), 텍사스 인스트루먼트(Texas Instruments), 페어차일드 반도체(Fairchild Semiconductor), 르네사스(Renesas), X-Fab와 같은 국제 기업의 공장과 그린 패킷(Green Packet), 실테라(Silterra), 글로브트로닉스(Globetronics), 유니셈(Unisem), 이나리(Inari)와 같은 주요 말레이시아 소유 기업이 있어 말레이시아의 반도체 산업의 꾸준한 성장에 기여하면서, 전기 부품 제조의 주요 허브이다. 현재까지 50개 이상의 기업이 말레이시아에서 반도체 소자를 생산하고 있으며, 대부분 다국적 기업이다.[117]

==== 태양광 산업 ====

퍼스트 솔라(First Solar)의 쿨림 공장


말레이시아는 퍼스트 솔라(First Solar), 파나소닉(Panasonic), TS Solartech, 징코 솔라(Jinko Solar), JA 솔라, 선파워(SunPower), 한화큐셀(Hanwha Q Cells) 및 선에디슨(SunEdison)과 같은 회사의 공장이 쿨림, 페낭, 말라카, 사이버자야이포와 같은 지역에 위치하여 태양광 장비 제조의 주요 허브이다.[118][119]

2013년 말레이시아의 태양광 웨이퍼, 태양 전지 및 태양광 패널 총 생산 능력은 총 4,042 MW였다.[120] 2014년까지 말레이시아는 중국과 유럽 연합에 이어 세계에서 세 번째로 큰 태양광 발전 장비 제조업체였다.[118]

많은 국제 기업들이 말레이시아에 대부분의 생산 능력을 두고 있으며, 예를 들어 퍼스트 솔라(First Solar)는 쿨림에 2,000 MW 이상의 생산 능력을, 오하이오에는 280 MW의 생산 능력만을 가지고 있으며,[121] 이전에는 독일에 기반을 둔 한화큐셀(Hanwha Q Cells)은 사이버자야에서 1,100 MW 상당의 태양 전지를 생산하는 반면, 독일에서는 200 MW 상당의 태양 전지만을 생산한다. 선파워(SunPower)의 1,400 MW 용량의 최대 제조 시설도 말라카에 위치해 있다.[118][122]

==== 자동차 산업 ====

말레이시아 자동차 회사 프로톤에서 제작한 프로톤 프레베.


말레이시아의 자동차 산업은 27개의 차량 생산 업체와 640개 이상의 부품 제조업체로 구성되어 있다.[123] 말레이시아 자동차 산업은 동남아시아에서 세 번째로 크며, 연간 50만 대 이상의 차량을 생산하여 세계 23위를 차지한다.[124] 자동차 산업은 말레이시아 GDP의 4%, 즉 400억 링깃에 기여하며, 전국적인 생태계에서 70만 명 이상의 인력을 고용하고 있다.[123]

말레이시아 자동차 산업은 프로톤과 Perodua와 같은 자국 자동차 회사를 동남아시아에서 유일하게 개척한 곳이다. 2002년, 프로톤은 말레이시아가 처음부터 자동차를 완전히 설계, 엔지니어링 및 제조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 세계 11번째 국가가 되는 데 기여했다.[125] 말레이시아 자동차 산업은 또한 수입된 완전 분해 조립(CKD) 키트에서 다양한 차량을 조립하는 여러 국내-외 합작 회사도 운영하고 있다.

말레이시아 최초의 기술 유니콘 스타트업인 자동차 전자 상거래 플랫폼 Carsome은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및 태국에서 제품, 기술 및 인프라를 확장하기 위해 2억 9천만 달러의 시리즈 E 펀딩 라운드를 유치했다. 이 최신 펀딩 라운드는 중고차 온라인 시장의 가치를 17억 달러로 평가한다.[126]

==== 건설업 ====

페낭 다리


말레이시아는 1,022억 링깃(320억 달러) 이상의 대규모 건설 산업을 보유하고 있다. 가장 높은 점유율은 비주거용 건물 건설 부문에서 34.6%를 기록했다. 그 다음으로 토목 공학 부문(30.6%), 주거용 건물 (29.7%), 특수 공사(5.1%) 순이었다.[127]

슬랑고르는 24.5%로 주(state) 중에서 가장 높은 건설 공사 가치를 기록했으며, 그 뒤를 이어 조호르가 16.5%, 쿠알라룸푸르가 15.8%, 사라왁이 8.6%, 페낭이 6.4%를 기록했다. 이 5개 주의 기여도는 말레이시아 전체 건설 공사 가치의 71.8%를 차지했다.

건설 산업의 확장은 주요 자본 지출 프로젝트에 의해 촉진되었으며, 핵심 요인은 정부의 경제 변혁 프로그램(ETP)과 툰 라자크 교환, KVMRT 및 이스칸다르 말레이시아와 같은 민관 파트너십(PPP) 메가 프로젝트였다.[127]

==== 방위 산업 ====

말레이시아는 1999년 정부가 자국 기업들의 방위 산업 참여를 장려하기 위해 말레이시아 방위 산업 위원회를 설립한 후 비교적 새로운 방위 산업을 갖게 되었다.

방위 산업의 육상 부문은 말레이시아 최대 자동차 제조사인 DRB-HICOM의 자회사인 DefTech가 주도하고 있다. 이 회사는 장갑차 및 특수 물류 차량 제조에 주력하고 있다. DefTech는 과거에 ACV-15 보병 전투 차량을 말레이시아 육군에 공급했으며, 현재 DefTech AV8 수륙 양용 다목적 장갑차를 말레이시아 육군에 공급하고 있다.

Kedah급 군함


방위 산업의 해상 부문은 Boustead Heavy Industries가 주도하고 있으며, 이 회사는 외국 기업과의 기술 이전을 통해 말레이시아 해군(RMN)을 위한 군함을 건조한다. Boustead Heavy Industries는 과거에 RMN을 위해 4척의 Kedah급 해양 초계함을 건조했으며, 현재 RMN을 위해 6척의 제2세대 순찰함을 추가로 건조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4. 1. 농업

말레이시아의 고무 농장


농업은 현재 말레이시아 경제에서 작은 부문을 차지하며, 2014년 말레이시아 GDP의 7.1%를 차지하고 말레이시아 노동력의 11.1%를 고용하고 있다. 이는 1960년대 농업이 말레이시아 GDP의 37%를 차지하고 노동력의 66.2%를 고용했던 것과 대조적이다.[232] 농업 부문에서 재배되는 작물 또한 논과 코코넛과 같은 식량 작물에서 팜유와 천연 고무와 같은 산업 작물로 크게 변화했다. 2005년에는 전체 농지의 83.7%를 차지했으며, 1960년에는 68.5%였다.[110]

말레이시아는 GDP에 대한 기여도는 적지만, 2012년 세계 2위의 팜유 생산국으로[111] 약 500만 헥타르의 토지에서 1,879만 톤의 팜유를 생산하며 세계 농업 분야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112][113] 인도네시아가 더 많은 팜유를 생산하지만, 말레이시아는 2011년 1,800만 톤의 팜유 제품을 수출하여 세계 최대의 팜유 수출국이다.[114]

2019년 3월, 유럽 연합은 팜유 농업 재배가 과도한 산림 벌채를 초래하며, 2030년까지 운송 연료 사용을 단계적으로 중단해야 한다고 결론 내렸다. 이에 대해 마하티르 모하맛은 유럽 연합이 팜유 사용 감소를 목표로 하는 "매우 불공정한" 정책으로 인해 말레이시아와 무역 전쟁을 시작할 위험이 있다고 주장했다. 마하티르는 이를 "불공정"하며 "부자들이... 가난한 사람들을 가난하게 만들려는" 사례라고 언급했다.[115]

4. 2. 관광업

쁘렌띠안섬의 남쪽 해변


관광업은 말레이시아 경제의 큰 부문으로, 2014년에 5710만 명 이상의 국내 관광객이 374억 원(110억 달러)의 관광객 수입을 올렸으며[233], 2013년에 비해 6.7% 증가한 2743만7315명의 해외 관광객을 유치했다.[234] 2014년에 총 국제 관광객 수입은 606억 달러(190억 달러)로 3.9% 증가했다.[235]

세계 관광 기구(UNWTO)는 2012년에 말레이시아를 10번째로 가장 많이 방문한 나라로 선정했다.[236]

말레이시아는 관광 산업의 자산이 되는 다양한 자연 명소가 풍부하다. 세계 여행 관광 위원회(WTTC)는 말레이시아를 "실현되지 않은 잠재력으로 가득 찬 여행지"로 선언했는데, 그는 말레이시아를 비교적 저렴한 가격과 대부분 손상되지 않은 목적지에 맞게 다양한 볼거리를 이용할 수 있다는 점을 주요 강점으로 내세웠다.[237]

말레이시아의 주요 관광지는 물루 동굴, 쁘렌띠안섬, 랑카위, 페트로나스 트윈 타워, 키나발루산이다.[238]

관광은 말레이시아 경제의 거대한 분야로, 2023년에 2,014만 명의 관광객이 713억 링깃(155억 달러)의 관광 수입을 창출했다.[137][138] 총 관광 수입은 2013년 654억 링깃(200억 달러)에 비해 9% 증가했다.[139]

말레이시아는 2024년 세계에서 14번째로 많은 관광객이 방문하는 국가로, 2,610만 명의 관광객이 방문했다.[140]

말레이시아는 다양한 자연 명소로 풍부하며, 이는 이 나라의 관광 산업의 자산이 된다. 이는 세계 여행 관광 협의회(WTTC)에서 인정한 것으로, 말레이시아를 "실현되지 않은 잠재력이 가득한 목적지"로 선언했으며, 주요 강점은 모든 취향에 맞는 다양한 범위의 매력, 비교적 저렴한 가격, 그리고 대체로 훼손되지 않은 목적지라는 점이다.[141]

말레이시아의 주요 관광 명소는 물루 동굴, 페르헨티안 제도, 랑카위, 페트로나스 트윈 타워, 키나발루 산이다.[142]

4. 2. 1. 의료 관광업

사바주 투아란 병원


의료 관광업은 말레이시아 경제의 중요한 부문으로, 2014년에 의료 치료만을 위해 말레이시아로 약 100만 명이 여행하여 약 2억 달러(약 697만 달러)의 수익을 창출했다.[239] 2022년에는 약 85만 명이 의료 치료만을 위해 말레이시아를 방문하여 경제에 13억 링깃(2억 9500만 달러)의 수익을 기여했다.[143] 이는 팬데믹 이전의 120만 명과 총 17억 링깃(4억 1600만 달러) 기여에서 감소한 수치이지만, 말레이시아 헬스케어 여행 위원회(MHTC)는 이미 2024년까지 이 수치가 초과할 것으로 예상하며, 예상 수익은 24억 링깃(5억 5800만 달러)이다.[144]

말레이시아는 현대의 민간 의료 시설과 매우 효율적인 의료 전문가들이 있는 가장 선호하는 의료 관광지 중 하나로 유명하다.[240][145] 2014년 말레이시아는 노마드 캐피탈리스트에 의해 세계 최고의 의료관광지로 선정되었다.[241][146] CNBC는 말레이시아를 10대 의료관광지로 선정하기도 했다.[242][147]

2014년, 말레이시아 병원인 프린스 코트 메디컬 센터는 MTQUA에 의해 세계 최고의 의료 관광객 병원으로 선정되었다.[243][148] MHTC는 두 개의 말레이시아 병원, 글렌이글스 쿠알라룸푸르와 선웨이 메디컬 센터가 뉴스위크 & Statista의 2024년 세계 최고의 병원에 선정되었다고 발표했다.

말레이시아 정부는 2020년까지 190만 명의 외국인 환자로부터 96억 달러(32억 달러)의 매출을 달성한다는 목표를 세웠다.[240]

4. 3. 제조업

말레이시아의 과학기술은 과학기술혁신부에서 관할한다. 말레이시아는 반도체 장치, 전기 장치, IT 및 통신 제품의 세계 최대 수출국 중 하나이다.[85]

말레이시아의 산업 부문은 2014년 GDP의 36.8%를 차지하며, 2012년에는 노동력의 36%를 고용했다. 산업 부문은 주로 전자 산업, 자동차 산업 및 건설 산업에 의해 기여되었다.

==== 전기 및 전자 산업 ====

전기 및 전자(E&E) 산업은 말레이시아 제조업 분야의 선도적인 부문으로, 국가의 수출과 고용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E&E 산업은 전 세계 후공정 반도체의 13%를 생산하며, 국가 수출 생산량의 40%를 차지하고 2023년 GDP의 약 5.8%에 기여했다.[116] 말레이시아는 모바일 기기(스마트폰, 태블릿), 데이터 저장 장치(클라우드 컴퓨팅, 데이터 센터), 광전자공학(광학, 광섬유, LED) 및 임베디드 기술(집적 회로, 인쇄 회로 기판, LED)의 글로벌 수요 증가로 혜택을 보고 있다.[117]

이 하위 부문에 속하는 제품/활동에는 반도체 소자, 수동 소자, 인쇄 회로 기판 및 미디어, 기판, 커넥터와 같은 기타 부품이 포함된다.

전기 부품 하위 부문 내에서 반도체 소자는 전기 및 전자 산업 수출의 주요 기여 업체이다. 2013년 반도체 소자 수출액은 1,111억 9천만 링깃으로 전체 전기 및 전자 제품 수출의 47%를 차지했다.

말레이시아는 인텔(Intel), AMD, 프리스케일 반도체(Freescale Semiconductor), ASE(Advanced Semiconductor Engineering), 인피니언(Infineon),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STMicroelectronics), 텍사스 인스트루먼트(Texas Instruments), 페어차일드 반도체(Fairchild Semiconductor), 르네사스(Renesas), X-Fab와 같은 국제 기업의 공장과 그린 패킷(Green Packet), 실테라(Silterra), 글로브트로닉스(Globetronics), 유니셈(Unisem), 이나리(Inari)와 같은 주요 말레이시아 소유 기업이 있어 말레이시아의 반도체 산업의 꾸준한 성장에 기여하면서, 전기 부품 제조의 주요 허브이다. 현재까지 50개 이상의 기업이 말레이시아에서 반도체 소자를 생산하고 있으며, 대부분 다국적 기업이다.[117]

==== 태양광 산업 ====

말레이시아는 퍼스트 솔라(First Solar), 파나소닉(Panasonic), TS Solartech, 징코 솔라(Jinko Solar), JA 솔라, 선파워(SunPower), 한화큐셀(Hanwha Q Cells) 및 선에디슨(SunEdison)과 같은 회사의 공장이 쿨림, 페낭, 말라카, 사이버자야이포와 같은 지역에 위치하여 태양광 장비 제조의 주요 허브이다.[118][119]

2013년 말레이시아의 태양광 웨이퍼, 태양 전지 및 태양광 패널 총 생산 능력은 총 4,042 MW였다.[120] 2014년까지 말레이시아는 중국과 유럽 연합에 이어 세계에서 세 번째로 큰 태양광 발전 장비 제조업체였다.[118]

많은 국제 기업들이 말레이시아에 대부분의 생산 능력을 두고 있으며, 예를 들어 퍼스트 솔라(First Solar)는 쿨림에 2,000 MW 이상의 생산 능력을, 오하이오에는 280 MW의 생산 능력만을 가지고 있으며,[121] 이전에는 독일에 기반을 둔 한화큐셀(Hanwha Q Cells)은 사이버자야에서 1,100 MW 상당의 태양 전지를 생산하는 반면, 독일에서는 200 MW 상당의 태양 전지만을 생산한다. 선파워(SunPower)의 1,400 MW 용량의 최대 제조 시설도 말라카에 위치해 있다.[118][122]

==== 자동차 산업 ====

말레이시아의 자동차 산업은 27개의 차량 생산 업체와 640개 이상의 부품 제조업체로 구성되어 있다.[123] 말레이시아 자동차 산업은 동남아시아에서 세 번째로 크며, 연간 50만 대 이상의 차량을 생산하여 세계 23위를 차지한다.[124] 자동차 산업은 말레이시아 GDP의 4%, 즉 400억 링깃에 기여하며, 전국적인 생태계에서 70만 명 이상의 인력을 고용하고 있다.[123]

말레이시아 자동차 산업은 프로톤과 Perodua와 같은 자국 자동차 회사를 동남아시아에서 유일하게 개척한 곳이다. 2002년, 프로톤은 말레이시아가 처음부터 자동차를 완전히 설계, 엔지니어링 및 제조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 세계 11번째 국가가 되는 데 기여했다.[125] 말레이시아 자동차 산업은 또한 수입된 완전 분해 조립(CKD) 키트에서 다양한 차량을 조립하는 여러 국내-외 합작 회사도 운영하고 있다.

말레이시아 최초의 기술 유니콘 스타트업인 자동차 전자 상거래 플랫폼 Carsome은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및 태국에서 제품, 기술 및 인프라를 확장하기 위해 2억 9천만 달러의 시리즈 E 펀딩 라운드를 유치했다. 이 최신 펀딩 라운드는 중고차 온라인 시장의 가치를 17억 달러로 평가한다.[126]

4. 3. 1. 전기 및 전자 산업

전기 및 전자(E&E) 산업은 말레이시아 제조업 분야의 선도적인 부문으로, 국가의 수출과 고용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E&E 산업은 전 세계 후공정 반도체의 13%를 생산하며, 국가 수출 생산량의 40%를 차지하고 2023년 GDP의 약 5.8%에 기여했다.[116] 말레이시아는 모바일 기기(스마트폰, 태블릿), 데이터 저장 장치(클라우드 컴퓨팅, 데이터 센터), 광전자공학(광학, 광섬유, LED) 및 임베디드 기술(집적 회로, 인쇄 회로 기판, LED)의 글로벌 수요 증가로 혜택을 보고 있다.[117]

이 하위 부문에 속하는 제품/활동에는 반도체 소자, 수동 소자, 인쇄 회로 기판 및 미디어, 기판, 커넥터와 같은 기타 부품이 포함된다.

전기 부품 하위 부문 내에서 반도체 소자는 전기 및 전자 산업 수출의 주요 기여 업체이다. 2013년 반도체 소자 수출액은 1,111억 9천만 링깃으로 전체 전기 및 전자 제품 수출의 47%를 차지했다.

말레이시아는 인텔(Intel), AMD, 프리스케일 반도체(Freescale Semiconductor), ASE(Advanced Semiconductor Engineering), 인피니언(Infineon),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STMicroelectronics), 텍사스 인스트루먼트(Texas Instruments), 페어차일드 반도체(Fairchild Semiconductor), 르네사스(Renesas), X-Fab와 같은 국제 기업의 공장과 그린 패킷(Green Packet), 실테라(Silterra), 글로브트로닉스(Globetronics), 유니셈(Unisem), 이나리(Inari)와 같은 주요 말레이시아 소유 기업이 있어 말레이시아의 반도체 산업의 꾸준한 성장에 기여하면서, 전기 부품 제조의 주요 허브이다. 현재까지 50개 이상의 기업이 말레이시아에서 반도체 소자를 생산하고 있으며, 대부분 다국적 기업이다.[117]

4. 3. 2. 태양광 산업

말레이시아는 퍼스트 솔라(First Solar), 파나소닉(Panasonic), TS Solartech, 징코 솔라(Jinko Solar), JA 솔라, 선파워(SunPower), 한화큐셀(Hanwha Q Cells) 및 선에디슨(SunEdison)과 같은 회사의 공장이 쿨림, 페낭, 말라카, 사이버자야이포와 같은 지역에 위치하여 태양광 장비 제조의 주요 허브이다.[118][119]

2013년 말레이시아의 태양광 웨이퍼, 태양 전지 및 태양광 패널 총 생산 능력은 총 4,042 MW였다.[120] 2014년까지 말레이시아는 중국과 유럽 연합에 이어 세계에서 세 번째로 큰 태양광 발전 장비 제조업체였다.[118]

많은 국제 기업들이 말레이시아에 대부분의 생산 능력을 두고 있으며, 예를 들어 퍼스트 솔라(First Solar)는 쿨림에 2,000 MW 이상의 생산 능력을, 오하이오에는 280 MW의 생산 능력만을 가지고 있으며,[121] 이전에는 독일에 기반을 둔 한화큐셀(Hanwha Q Cells)은 사이버자야에서 1,100 MW 상당의 태양 전지를 생산하는 반면, 독일에서는 200 MW 상당의 태양 전지만을 생산한다. 선파워(SunPower)의 1,400 MW 용량의 최대 제조 시설도 말라카에 위치해 있다.[118][122]

4. 3. 3. 자동차 산업



말레이시아의 자동차 산업은 27개의 차량 생산 업체와 640개 이상의 부품 제조업체로 구성되어 있다.[123] 말레이시아 자동차 산업은 동남아시아에서 세 번째로 크며, 연간 50만 대 이상의 차량을 생산하여 세계 23위를 차지한다.[124] 자동차 산업은 말레이시아 GDP의 4%, 즉 400억 링깃에 기여하며, 전국적인 생태계에서 70만 명 이상의 인력을 고용하고 있다.[123]

말레이시아 자동차 산업은 프로톤과 Perodua와 같은 자국 자동차 회사를 동남아시아에서 유일하게 개척한 곳이다. 2002년, 프로톤은 말레이시아가 처음부터 자동차를 완전히 설계, 엔지니어링 및 제조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 세계 11번째 국가가 되는 데 기여했다.[125] 말레이시아 자동차 산업은 또한 수입된 완전 분해 조립(CKD) 키트에서 다양한 차량을 조립하는 여러 국내-외 합작 회사도 운영하고 있다.

말레이시아 최초의 기술 유니콘 스타트업인 자동차 전자 상거래 플랫폼 Carsome은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및 태국에서 제품, 기술 및 인프라를 확장하기 위해 2억 9천만 달러의 시리즈 E 펀딩 라운드를 유치했다. 이 최신 펀딩 라운드는 중고차 온라인 시장의 가치를 17억 달러로 평가한다.[126]

4. 4. 건설업



말레이시아는 1,022억 링깃(320억 달러) 이상의 대규모 건설 산업을 보유하고 있다. 가장 높은 점유율은 비주거용 건물 건설 부문에서 34.6%를 기록했다. 그 다음으로 토목 공학 부문(30.6%), 주거용 건물 (29.7%), 특수 공사(5.1%) 순이었다.[127]

슬랑고르는 24.5%로 주(state) 중에서 가장 높은 건설 공사 가치를 기록했으며, 그 뒤를 이어 조호르가 16.5%, 쿠알라룸푸르가 15.8%, 사라왁이 8.6%, 페낭이 6.4%를 기록했다. 이 5개 주의 기여도는 말레이시아 전체 건설 공사 가치의 71.8%를 차지했다.

건설 산업의 확장은 주요 자본 지출 프로젝트에 의해 촉진되었으며, 핵심 요인은 정부의 경제 변혁 프로그램(ETP)과 툰 라자크 교환, KVMRT 및 이스칸다르 말레이시아와 같은 민관 파트너십(PPP) 메가 프로젝트였다.[127]

4. 5. 방위 산업

말레이시아는 1999년 정부가 자국 기업들의 방위 산업 참여를 장려하기 위해 말레이시아 방위 산업 위원회를 설립한 후 비교적 새로운 방위 산업을 갖게 되었다.

방위 산업의 육상 부문은 말레이시아 최대 자동차 제조사인 DRB-HICOM의 자회사인 DefTech가 주도하고 있다. 이 회사는 장갑차 및 특수 물류 차량 제조에 주력하고 있다. DefTech는 과거에 ACV-15 보병 전투 차량을 말레이시아 육군에 공급했으며, 현재 DefTech AV8 수륙 양용 다목적 장갑차를 말레이시아 육군에 공급하고 있다.

방위 산업의 해상 부문은 Boustead Heavy Industries가 주도하고 있으며, 이 회사는 외국 기업과의 기술 이전을 통해 말레이시아 해군(RMN)을 위한 군함을 건조한다. Boustead Heavy Industries는 과거에 RMN을 위해 4척의 Kedah급 해양 초계함을 건조했으며, 현재 RMN을 위해 6척의 제2세대 순찰함을 추가로 건조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4. 6. 서비스업

4. 6. 1. 금융 및 은행

말레이시아 최대 은행인 Maybank의 본사


쿠알라룸푸르는 대규모 금융 부문을 보유하고 있으며, 글로벌 금융 중심지 지수에서 세계 22위를 기록하고 있다.[128]

현재 말레이시아에는 27개의 상업 은행(국내 8개, 외국 19개), 16개의 이슬람 은행(국내 10개, 외국 6개), 15개의 투자 은행(모두 국내) 및 2개의 기타 금융 기관(모두 국내)이 운영되고 있다.

상업 은행은 은행 시스템에서 가장 크고 중요한 자금 제공자이다. 말레이시아 금융 부문에서 가장 큰 은행은 Maybank, CIMB, Public Bank Berhad, RHB Bank 및 AmBank이다.

말레이시아는 현재 세계 최대의 이슬람 금융 중심지이기도 하다. 말레이시아는 5개의 외국 은행을 포함하여 16개의 본격적인 이슬람 은행을 보유하고 있으며, 총 이슬람 은행 자산은 1,684억 달러로 말레이시아 전체 은행 자산의 25%를 차지한다.[129] 이는 다시 전 세계 이슬람 은행 자산의 10% 이상을 차지한다. 이에 비해 말레이시아의 주요 경쟁국인 아랍에미리트는 950억 달러의 자산을 보유하고 있다.[130]

말레이시아는 수쿠크(이슬람 채권) 시장에서 세계 선두 주자이며, 2014년에 620억 링깃(177억 4천만 달러)의 수쿠크를 발행했는데, 이는 전 세계 총 266억 달러의 66.7% 이상을 차지한다.[132][129][133] 말레이시아는 또한 전 세계 미결제 수쿠크 시장의 약 2/3를 차지하며, 전 세계 총 2,900억 달러 중 1,780억 달러를 통제하고 있다.[134]

말레이시아 정부는 수도 쿠알라룸푸르를 툰 라자크 교환(TRX) 건설을 통해 국제 무역 및 투자를 확대하고 위상을 높이기 위해 주요 금융 중심지로 전환할 계획이다. 이명박 정부와 자유한국당(현 국민의힘)은 이 프로젝트가 빠르게 성장하는 이슬람 금융 시장에서 국가가 확립한 강점을 활용하여 말레이시아가 싱가포르홍콩과 같은 지역 금융 강국과 경쟁할 수 있게 해줄 것이라고 믿고 있지만, 이러한 주장은 실현 가능성이 낮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특히, 대한민국에서는 이러한 보수 정권의 주장에 대한 불신이 강하며, 오히려 문재인 정부와 더불어민주당의 경제 정책에 대한 지지가 높다.[129]

쿠알라룸푸르에 본사를 둔 부르사 말레이시아는 말레이시아의 유일한 국립 증권 거래소 역할을 한다. 주식 거래는 1960년에 시작되었으며 현재 동남아시아에서 가장 큰 증권 거래소 중 하나이다.[135][136]

4. 6. 2. 석유 및 가스

페트로나스 주유소 (태국)


말레이시아는 활발한 석유 및 가스 산업을 가지고 있다. 국영 석유 회사인 페트로나스는 2022년 포춘 500 목록에서 216위를 기록했으며, 2024년 상반기에 1,710억 링깃(365억 달러) 이상의 매출과 7,980억 링깃(1,690억 달러) 이상의 총 자산을 보유했다.[149] 페트로나스는 2018년부터 2023년까지 말레이시아 정부 수입의 20% 이상을 차지했다. 말레이시아 정부는 페트로나스에서 약 320억 링깃(약 70억 달러)과 석유 파생 수입에서 640억 링깃(139억 달러)의 기여를 예상하며 석유 의존도를 적극적으로 줄여왔으며, 후자의 수치는 698억 링깃(152억 달러)에서 감소했다.[150]

페트로나스는 또한 말레이시아의 석유 및 가스 매장량의 관리자이다. 따라서 모든 석유 및 가스 활동은 페트로나스에 의해 규제된다. 말레이시아는 생산 공유 계약을 통해 외국 석유 회사의 참여를 장려하며, 상당량의 석유가 생산 목표에 도달할 때까지 외국 석유 회사에 제공된다. 현재 엑손모빌, 로열 더치 쉘, 닛폰 오일, 머피 오일과 같은 많은 주요 석유 회사들이 이러한 계약에 참여하고 있다.[151] 그 결과, 말레이시아의 유전의 40%가 개발되었다.[152]

말레이시아에는 3,500개 이상의 석유 및 가스(O&G) 사업체가 있으며, 여기에는 국내 및 지역 O&G 가치 사슬의 요구를 지원하는 국제 석유 회사, 독립 회사, 서비스 및 제조 회사가 포함된다. 많은 주요 글로벌 기계 및 장비(M&E) 제조업체가 국내 M&E 회사를 보완하기 위해 말레이시아에 기지를 설립했으며, 다른 말레이시아 석유 및 가스 회사는 해양, 시추, 엔지니어링, 제작, 해상 설치 및 운영 및 유지 보수(O&M)와 같은 주요 전략적 부문에 집중하고 있다.

5. 천연자원

말레이시아는 농업, 임업, 광물 분야에서 천연자원이 풍부하다. 천연자원 및 농산물 수출국이며, 가장 가치 있는 수출 자원은 석유이다.[207][85] 농업 부문에서 말레이시아는 목재 및 목재 제품, 코코아, 후추, 파인애플, 담배와 함께 천연 고무와 팜유의 주요 수출국 중 하나이다.[208][86] 2011년 현재 말레이시아의 경작지 비율은 5.44%이다. 농경지는 17.49%로 구성되는 반면 다른 토지 이용은 77.07%로 구성된다.[209] 2009년 기준으로, 관개지는 3,800 km2에 달한다. 2011년 현재 총 재생 가능한 수자원은 580 km3이다.

말레이시아의 팜유 농장


주석과 석유는 말레이시아 경제에서 중요한 광물 자원이다. 말레이시아는 1980년대 초 주석 시장이 붕괴될 때까지 한때 세계 최대의 주석 생산국이었다.[210][88] 19세기와 20세기에 주석 생산은 말레이시아 경제에서 지배적인 역할을 했으며, 말레이시아는 세계 생산량의 31% 이상을 차지했다. 석유와 천연가스가 주석으로부터 광물 채굴 부문의 주축을 이룬 것은 1972년에 불과했다. 중요하거나 중요한 다른 광물로는 구리, 보크사이트, 철광석, 석탄, 점토, 고령토, 실리카, 석회암, 중정석, 인산염, 화강암과 같은 치수석과 대리석 블록, 석판 등이 있다. 소량의 금이 생산된다.

2019년, 말레이시아는 세계에서 11번째로 큰 망간 생산국이었고,[211][89] 주석의 11번째로 큰 생산국이었고,[212][90] 보크사이트의 12번째로 큰 생산국이었으며,[213][91] 석회의 19번째로 큰 생산국이었다.[214][92]

말레이시아는 2022년 1월 기준으로 69억 배럴의 확인된 원유 매장량을 보유하고 있으며,[93] 이는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서 중국, 인도, 베트남에 이어 네 번째로 많은 매장량이다. 말레이시아 원유의 거의 대부분은 해상 유전에서 생산된다. 대륙붕은 세 개의 생산 분지로 나뉜다. 서쪽의 말레이 반도 동쪽 해안 분지와 동쪽의 사라왁 및 사바 분지이다. 말레이시아 원유 매장량의 대부분은 반도 분지에 위치하고 있으며, 경질유와 저유황유인 경향이 있다. 말레이시아의 기준 원유인 타피스 블렌드는 API 비중이 42.7°이고 황 함량이 중량비로 0.04%인 경질 저유황 원유이다.

말레이시아는 2021년 기준으로 87.8조 입방 피트(Tcf)의 확인된 천연 가스 매장량을 보유하고 있으며,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서 중국과 인도네시아에 이어 세 번째로 큰 천연 가스 매장량을 보유하고 있다. 말레이시아 천연 가스 매장량의 절반 이상은 동부 지역, 특히 사라왁 해상에 위치해 있다. 말레이시아 가스 매장량의 대부분은 유전과 연관되어 있지만, 사라왁과 사바에는 말레이 반도 해상의 성숙한 석유 및 가스 분지의 감소를 상쇄하는 비연관 가스 매장량이 증가하고 있다.[94]

6. 무역

6. 1. 대외 무역

2021년, 말레이시아의 총 대외 무역 규모는 2조 2,270억 링깃(약 5,300억 미국 달러)에 달했으며, 수출은 1조 2,390억 링깃(약 2,950억 미국 달러), 수입은 9,870억 링깃(약 2,350억 미국 달러)을 기록했다. 이는 말레이시아를 세계 21번째로 큰 수출국이자 세계 25번째로 큰 수입국으로 만들었다.

말레이시아의 최대 교역 상대국은 중국이다. 말레이시아는 2008년 이후 5년 연속 아세안 내에서 중국의 최대 교역 상대국이었다.[105] 2013년 중국과 말레이시아 간의 양자 무역 규모는 1,060억 달러에 달해, 말레이시아는 일본과 대한민국에 이어 아시아에서 세 번째로 크고 전체 8번째로 큰 중국의 무역 파트너가 되었다.[105] 2014년 5월 31일, 나집 라작 총리의 중국 방문에서 중국 국무원 총리 리커창은 양국이 2017년까지 양자 무역을 1,600억 달러로 늘리고, 할랄 식품 생산, 수자원 처리 및 철도 건설 분야에서 경제 및 금융 협력을 강화하기로 합의했다고 환영했다.[106]

말레이시아의 두 번째로 큰 교역 상대국은 싱가포르이며, 말레이시아는 싱가포르의 최대 교역 상대국이다. 2012년 양자 무역 총액은 약 910억 달러로, 아세안 내 전체 무역의 5분의 1 이상을 차지했다.[107][108]

말레이시아의 세 번째로 큰 교역 상대국은 일본으로, 2014년 무역액은 1,374억 5천만 링깃(420억 미국 달러)으로 2013년에 비해 1.4% 증가했다. 이 중 수출은 827억 1천만 링깃(256억 미국 달러)으로 4.4% 증가했고, 수입은 2.9% 감소한 547억 5천만 링깃(167억 4천만 미국 달러)을 기록했다. 주일 말레이시아 대사 다툭 아흐마드 이즐란 이드리스는 말레이시아에서 일본으로의 주요 수출 품목은 액화 천연 가스(LNG), 전기 및 전자 제품, 화학 기반 제품이며, 일본으로부터의 주요 수입 품목은 전기 및 전자 제품, 기계 및 장비, 차량 및 자동차 부품 및 부속품이라고 말했다.[109]

말레이시아는 미국에게 중요한 무역 파트너이다. 1999년, 미국과 말레이시아 간의 양자 무역은 총 305억 달러였으며, 미국의 대 말레이시아 수출은 91억 달러, 말레이시아로부터의 수입은 214억 달러였다. 말레이시아는 미국의 10번째로 큰 무역 파트너이자 12번째로 큰 수출 시장이었다. 2000년 상반기 동안, 미국의 수출은 총 50억 달러였고, 말레이시아로부터의 수입은 116억 달러에 달했다.

6. 2. 국제 무역 협정

아세안-호주-뉴질랜드 자유 무역 지대 협정AANZFTA2009년 2월 27일2010년 1월 1일[https://fta.miti.gov.my/miti-fta/resources/ASEAN-Australia-New%20Zealand/Agreement.pdf] 아세안-홍콩 자유 무역 협정AHKFTA2017년 11월 12일2019년 10월 13일[https://fta.miti.gov.my/miti-fta/resources/ASEAN%20-%20Hong%20Kong,%20China/AHKFTA_and_Annexes_AHKFTA_Agreement_(Final)_(11.11_.17)_.pdf]

역내 포괄적 경제 동반자 협정RCEP2020년 11월 15일2022년 3월 18일[https://rcepsec.org/legal-text/]



2012년부터 EFTA과 경제 파트너십 협정을 체결하였다.[170] 그 외에도 말레이시아-유럽 연합 자유 무역 협정(MEUFTA), 환태평양 경제 동반자 협정(TPP), 무역 특혜 시스템-이슬람 협력 기구(TPS-OIC), 개발도상 8개국(D-8) 특혜 관세 협정(PTA) 등 다양한 형태의 무역 협정에 참여하고 있다.

7. 투자

말레이시아의 2014년 총 누적 투자액은 2,359억 링깃(RM)이었으며, 이 중 72.6%인 1,713억 링깃은 국내 투자, 27.4%인 646억 링깃은 외국인 투자였다.[244]

글로벌 경영 컨설팅 회사인 A.T. Kearney의 외국인 직접 투자 신뢰 지수(FDI Confidence Index)에서 말레이시아는 2014년 15위를 기록했다. 2012년에는 9위, 2007년에는 16위, 2010년에는 21위를 기록하는 등 변동이 있었다.[245][246] 이 지수는 정치, 경제, 규제 변화가 전 세계 주요 기업들의 FDI 의향과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한다.[172][173]

순위
2007
순위
2010
순위
2012
순위
2014
국가FDI 신뢰
지수
162110151.65


8. 인프라

말레이시아의 인프라는 아시아에서 가장 발달된 곳 중 하나이다.[153][154] 2016년, 말레이시아는 세계 경제 포럼의 세계 경쟁력 보고서에서 140개국 중 18위를 차지했으며, 이는 아시아의 모든 개발 도상국 중에서 가장 높은 순위였다.

통신망은 동남아시아에서 싱가포르에 이어 두 번째로, 2023년 기준 450만 명의 고정 광대역 가입자, 840만 명의 유선 전화 가입자, 5010만 명의 이동 통신 가입자를 보유하고 있다.[155][156][157] 말레이시아에는 7개의 국제 항만이 있으며, 주요 항만은 클랑 항이다. 산업 단지 200개와 말레이시아 기술 공원(Technology Park Malaysia) 및 쿨림 하이테크 공원(Kulim Hi-tech Park)과 같은 특화된 공원이 있다.[117] 담수는 인구의 95% 이상에게 공급된다. 식민지 시대에는 경제적으로 강력한 도시와 안보 문제가 있는 지역에 개발이 주로 집중되었다. 농촌 지역이 대규모 개발의 초점이 되었지만, 여전히 말레이 반도 서부 해안 지역과 같은 지역에 뒤쳐져 있다.[158] 통신망은 도시 지역에서는 강력하지만, 농촌 인구에게는 덜 보급되어 있다.[159]

말레이시아에서 가장 긴 고속도로인 남북 고속도로


쿠알라룸푸르 국제공항


포트클랑


2009년 건설 중인 바쿤 댐


'''교통망'''

말레이시아의 도로망은 아시아에서 가장 포괄적인 도로망 중 하나이며, 약 280,000km에 달한다.[165] 주요 국도망은 41,930km에 달하는 말레이시아 연방 도로 시스템이다. 말레이시아의 연방 도로는 대부분 2차선 도로이다. 시내 지역에서는 교통량 증가에 대응하기 위해 연방 도로가 4차선 도로로 바뀌기도 한다. 거의 모든 연방 도로는 아스팔트 콘크리트로 포장되어 있지만, Skudai–Pontian 고속도로의 일부 구간은 콘크리트로 포장되어 있으며, 클랑과 쿠알라룸푸르를 연결하는 연방 고속도로의 일부 구간은 아스팔트 콘크리트로 포장되어 있다.

말레이시아는 약 5,027km의 고속도로를 보유하고 있으며, 가장 긴 고속도로인 남북 고속도로는 말레이시아 반도의 서해안을 따라 772km 뻗어 있으며, 쿠알라룸푸르와 조호르 바루와 같은 주요 도시 중심지를 연결한다. 동말레이시아의 보르네오 섬에 있는 사바와 사라왁을 연결하는 판 보르네오 고속도로는 2015년부터 복선 차선으로 대대적인 업그레이드를 진행하고 있다. 총 1,663km의 도로 구간이 재건설되어 동말레이시아 고속도로의 표준을 말레이시아 반도의 고속도로와 동일한 수준으로 끌어올리고 있다.[166][167]

'''철도망'''

현재 말레이시아에는 2,900 km 이상의 철도가 있으며, 이 중 767 km 구간은 복선 철도로 전철화되어 있다.

말레이시아의 철도 운송은 중철도 (KTM), 경전철모노레일 (Rapid Rail), 푸니쿨라 철도 노선 (페낭 힐 철도)으로 구성된다. 중철도는 주로 도시 간 여객 및 화물 운송뿐만 아니라 일부 도시 대중교통에도 사용되며, 경전철은 도시 내 대중교통에 사용된다. 쿠알라룸푸르쿠알라룸푸르 국제공항을 연결하는 두 개의 통근 철도 노선이 있다. 말레이시아 유일의 모노레일 노선 또한 쿠알라룸푸르의 대중교통에 사용되며, 유일한 푸니쿨라 철도 노선은 페낭에 있다. KVMRT라는 급행 철도 사업이 현재 쿠알라룸푸르의 대중교통 시스템을 개선하기 위해 건설 중이다.

철도 네트워크는 말레이 반도 11개 주 대부분을 포함한다. 동말레이시아에서는 사바 주만 철도가 있다. 또한 네트워크는 북쪽의 태국 철도와 연결되어 있다. 버마 철도가 재건되면 미얀마, 인도 및 중국으로의 운행이 시작될 수 있다.

'''항공망'''

말레이시아는 118개의 공항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 중 38곳은 포장되어 있다. 대부분의 공항은 말레이시아 공항 홀딩스 유한회사(MAHB)에서 관리한다. 국책 항공사는 국제 및 국내 항공 서비스를 제공하는 말레이시아 항공이다. 주요 국제선 및 서말레이시아와 동말레이시아를 횡단하는 국내선은 말레이시아 항공과 에어아시아가 운항하며, 소규모 국내선은 MASwings, 파이어플라이 및 버자야 항공과 같은 소규모 항공사가 보완한다. 주요 화물 항공사로는 MASkargo와 트랜스마일 항공 서비스가 있다.

쿠알라룸푸르 국제공항(KLIA)은 말레이시아의 주요 공항이자 가장 붐비는 공항이다. 2019년에는 4,480만 명 이상의 국제선 승객을 기록하며 세계 12번째로 붐비는 공항이었다. 2023년에는 4,720만 명 이상의 승객을 기록하며 세계 35번째로 붐비는 공항이었다. 2024년 현재, KLIA는 국제선 연결 측면에서 런던 히드로 공항에 이어 세계에서 두 번째로 연결성이 높은 공항이며, 하네다 공항보다 앞선다.[168]

다른 주요 공항으로는 2019년에 900만 명 이상의 승객을 수송하며 말레이시아에서 두 번째로 붐비는 공항이자 동말레이시아에서 가장 붐비는 코타키나발루 국제공항과, 2023년에 약 680만 명의 승객을 수송한 페낭 국제공항 등이 있다.

'''해상망'''

말레이시아는 세계에서 가장 중요한 해상 수송로 중 하나인 말라카 해협에 전략적으로 위치해 있다. 고도로 발달된 해운 부문을 자랑하는 말레이시아는 UNCTAD에 의해 해상 무역로 연결성 측면에서 세계 5위의 국가로 선정되었으며, 이는 독일과 네덜란드와 같은 선진 경제국보다 높은 순위이다.[169]

말레이시아는 세계에서 가장 분주한 항구 20곳에 포함된 2개의 항구를 가지고 있는데, 각각 포트클랑과 탄중 펠레파스 항으로, 싱가포르 항 다음으로 동남아시아에서 두 번째와 세 번째로 분주한 항구이다.

포트클랑은 말레이시아에서 가장 분주한 항구이며, 1,400만 TEU 이상을 처리하며 세계에서 12번째로 분주한 항구이다. 탄중 펠레파스 항은 말레이시아에서 두 번째로 분주한 항구이며, 1,040만 TEU 이상을 처리하며 세계에서 16번째로 분주한 항구이다.

'''에너지'''

말레이시아는 2022년 1월 기준으로 69억 배럴의 확인된 원유 매장량을 보유하고 있으며,[93] 이는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서 중국, 인도, 베트남에 이어 네 번째로 많은 매장량이다. 말레이시아 원유의 거의 대부분은 해상 유전에서 생산된다. 말레이시아의 기준 원유인 타피스 블렌드는 API 비중이 42.7°이고 황 함량이 중량비로 0.04%인 경질 저유황 원유이다.

말레이시아는 2021년 기준으로 87.8조 입방 피트(Tcf)의 확인된 천연 가스 매장량을 보유하고 있으며,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서 중국과 인도네시아에 이어 세 번째로 큰 천연 가스 매장량을 보유하고 있다.[94] 말레이시아 천연 가스 매장량의 절반 이상은 동부 지역, 특히 사라왁 해상에 위치해 있다.

말레이시아의 에너지 인프라 부문은 동남아시아 최대의 전력 회사인 테나가 나시오날이 주도하고 있다. 고객은 반도에 약 11,000km[160]의 송전선로로 연결된 420개 이상의 송전 변전소가 있는 국가 전력망을 통해 전기를 공급받는다.

2013년 말레이시아의 총 발전 용량은 29,728 MW를 넘어섰다. 총 발전량은 140,985.01 GWh였으며 총 전력 소비량은 116,087.51 GWh였다.[161]

말레이시아의 에너지 생산은 석유 매장량과 천연 가스 매장량에 힘입어 주로 석유와 천연 가스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이는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서 중국, 인도, 베트남 다음으로 네 번째로 큰 규모이다.[162]

말레이시아는 상당한 재생 에너지 자원을 보유하고 있으며, 재생 에너지 장려를 위한 아세안 지역에서 가장 진보된 법적 프레임워크 중 하나를 갖추고 있다.[163] 2021년 현재 말레이시아는 국제 시장에서 태양광 패널의 주요 생산국 중 하나이지만, 역설적으로 국내 발전에는 이를 완전히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164]

8. 1. 교통망



말레이시아의 도로망은 아시아에서 가장 포괄적인 도로망 중 하나이며, 약 280,000km에 달한다.[165] 주요 국도망은 41,930km에 달하는 말레이시아 연방 도로 시스템이다. 말레이시아의 연방 도로는 대부분 2차선 도로이다. 시내 지역에서는 교통량 증가에 대응하기 위해 연방 도로가 4차선 도로로 바뀌기도 한다. 거의 모든 연방 도로는 아스팔트 콘크리트로 포장되어 있지만, Skudai–Pontian 고속도로의 일부 구간은 콘크리트로 포장되어 있으며, 클랑과 쿠알라룸푸르를 연결하는 연방 고속도로의 일부 구간은 아스팔트 콘크리트로 포장되어 있다.

말레이시아는 약 5,027km의 고속도로를 보유하고 있으며, 가장 긴 고속도로인 남북 고속도로는 말레이시아 반도의 서해안을 따라 772km 뻗어 있으며, 쿠알라룸푸르와 조호르 바루와 같은 주요 도시 중심지를 연결한다. 동말레이시아의 보르네오 섬에 있는 사바와 사라왁을 연결하는 판 보르네오 고속도로는 2015년부터 복선 차선으로 대대적인 업그레이드를 진행하고 있다. 총 1,663km의 도로 구간이 재건설되어 동말레이시아 고속도로의 표준을 말레이시아 반도의 고속도로와 동일한 수준으로 끌어올리고 있다.[166][167]

현재 말레이시아에는 2,900 km 이상의 철도가 있으며, 이 중 767 km 구간은 복선 철도로 전철화되어 있다.

말레이시아의 철도 운송은 중철도 (KTM), 경전철모노레일 (Rapid Rail), 푸니쿨라 철도 노선 (페낭 힐 철도)으로 구성된다. 중철도는 주로 도시 간 여객 및 화물 운송뿐만 아니라 일부 도시 대중교통에도 사용되며, 경전철은 도시 내 대중교통에 사용된다. 쿠알라룸푸르쿠알라룸푸르 국제공항을 연결하는 두 개의 통근 철도 노선이 있다. 말레이시아 유일의 모노레일 노선 또한 쿠알라룸푸르의 대중교통에 사용되며, 유일한 푸니쿨라 철도 노선은 페낭에 있다. KVMRT라는 급행 철도 사업이 현재 쿠알라룸푸르의 대중교통 시스템을 개선하기 위해 건설 중이다.

철도 네트워크는 말레이 반도 11개 주 대부분을 포함한다. 동말레이시아에서는 사바 주만 철도가 있다. 또한 네트워크는 북쪽의 태국 철도와 연결되어 있다. 버마 철도가 재건되면 미얀마, 인도 및 중국으로의 운행이 시작될 수 있다.

말레이시아는 118개의 공항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 중 38곳은 포장되어 있다. 대부분의 공항은 말레이시아 공항 홀딩스 유한회사(MAHB)에서 관리한다. 국책 항공사는 국제 및 국내 항공 서비스를 제공하는 말레이시아 항공이다. 주요 국제선 및 서말레이시아와 동말레이시아를 횡단하는 국내선은 말레이시아 항공과 에어아시아가 운항하며, 소규모 국내선은 MASwings, 파이어플라이 및 버자야 항공과 같은 소규모 항공사가 보완한다. 주요 화물 항공사로는 MASkargo와 트랜스마일 항공 서비스가 있다.

쿠알라룸푸르 국제공항(KLIA)은 말레이시아의 주요 공항이자 가장 붐비는 공항이다. 2019년에는 4,480만 명 이상의 국제선 승객을 기록하며 세계 12번째로 붐비는 공항이었다. 2023년에는 4,720만 명 이상의 승객을 기록하며 세계 35번째로 붐비는 공항이었다. 2024년 현재, KLIA는 국제선 연결 측면에서 런던 히드로 공항에 이어 세계에서 두 번째로 연결성이 높은 공항이며, 하네다 공항보다 앞선다.[168]

다른 주요 공항으로는 2019년에 900만 명 이상의 승객을 수송하며 말레이시아에서 두 번째로 붐비는 공항이자 동말레이시아에서 가장 붐비는 코타키나발루 국제공항과, 2023년에 약 680만 명의 승객을 수송한 페낭 국제공항 등이 있다.

말레이시아는 세계에서 가장 중요한 해상 수송로 중 하나인 말라카 해협에 전략적으로 위치해 있다. 고도로 발달된 해운 부문을 자랑하는 말레이시아는 UNCTAD에 의해 해상 무역로 연결성 측면에서 세계 5위의 국가로 선정되었으며, 이는 독일과 네덜란드와 같은 선진 경제국보다 높은 순위이다.[169]

말레이시아는 세계에서 가장 분주한 항구 20곳에 포함된 2개의 항구를 가지고 있는데, 각각 포트클랑과 탄중 펠레파스 항으로, 싱가포르 항 다음으로 동남아시아에서 두 번째와 세 번째로 분주한 항구이다.

포트클랑은 말레이시아에서 가장 분주한 항구이며, 1,400만 TEU 이상을 처리하며 세계에서 12번째로 분주한 항구이다. 탄중 펠레파스 항은 말레이시아에서 두 번째로 분주한 항구이며, 1,040만 TEU 이상을 처리하며 세계에서 16번째로 분주한 항구이다.

8. 1. 1. 도로망



말레이시아의 도로망은 아시아에서 가장 포괄적인 도로망 중 하나이며, 약 280,000km에 달한다.[165]

주요 국도망은 41,930km에 달하는 말레이시아 연방 도로 시스템이다. 말레이시아의 연방 도로는 대부분 2차선 도로이다. 시내 지역에서는 교통량 증가에 대응하기 위해 연방 도로가 4차선 도로로 바뀌기도 한다. 거의 모든 연방 도로는 아스팔트 콘크리트로 포장되어 있지만, Skudai–Pontian 고속도로의 일부 구간은 콘크리트로 포장되어 있으며, 클랑과 쿠알라룸푸르를 연결하는 연방 고속도로의 일부 구간은 아스팔트 콘크리트로 포장되어 있다.

말레이시아는 약 5,027km의 고속도로를 보유하고 있으며, 가장 긴 고속도로인 남북 고속도로는 말레이시아 반도의 서해안을 따라 772km 뻗어 있으며, 쿠알라룸푸르와 조호르 바루와 같은 주요 도시 중심지를 연결한다. 동말레이시아의 보르네오 섬에 있는 사바와 사라왁을 연결하는 판 보르네오 고속도로는 2015년부터 복선 차선으로 대대적인 업그레이드를 진행하고 있다. 총 1,663km의 도로 구간이 재건설되어 동말레이시아 고속도로의 표준을 말레이시아 반도의 고속도로와 동일한 수준으로 끌어올리고 있다.[166][167]

8. 1. 2. 철도망

현재 말레이시아에는 2,900 km 이상의 철도가 있으며, 이 중 767 km 구간은 복선 철도로 전철화되어 있다.

말레이시아의 철도 운송은 중철도 (KTM), 경전철모노레일 (Rapid Rail), 푸니쿨라 철도 노선 (페낭 힐 철도)으로 구성된다. 중철도는 주로 도시 간 여객 및 화물 운송뿐만 아니라 일부 도시 대중교통에도 사용되며, 경전철은 도시 내 대중교통에 사용된다. 쿠알라룸푸르쿠알라룸푸르 국제공항을 연결하는 두 개의 통근 철도 노선이 있다. 말레이시아 유일의 모노레일 노선 또한 쿠알라룸푸르의 대중교통에 사용되며, 유일한 푸니쿨라 철도 노선은 페낭에 있다. KVMRT라는 급행 철도 사업이 현재 쿠알라룸푸르의 대중교통 시스템을 개선하기 위해 건설 중이다.

철도 네트워크는 말레이 반도 11개 주 대부분을 포함한다. 동말레이시아에서는 사바 주만 철도가 있다. 또한 네트워크는 북쪽의 태국 철도와 연결되어 있다. 버마 철도가 재건되면 미얀마, 인도 및 중국으로의 운행이 시작될 수 있다.

8. 1. 3. 항공망



말레이시아는 118개의 공항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 중 38곳은 포장되어 있다. 대부분의 공항은 말레이시아 공항 홀딩스 유한회사(MAHB)에서 관리한다. 국책 항공사는 국제 및 국내 항공 서비스를 제공하는 말레이시아 항공이다. 주요 국제선 및 서말레이시아와 동말레이시아를 횡단하는 국내선은 말레이시아 항공과 에어아시아가 운항하며, 소규모 국내선은 MASwings, 파이어플라이 및 버자야 항공과 같은 소규모 항공사가 보완한다. 주요 화물 항공사로는 MASkargo와 트랜스마일 항공 서비스가 있다.

쿠알라룸푸르 국제공항(KLIA)은 말레이시아의 주요 공항이자 가장 붐비는 공항이다. 2019년에는 4,480만 명 이상의 국제선 승객을 기록하며 세계 12번째로 붐비는 공항이었다. 2023년에는 4,720만 명 이상의 승객을 기록하며 세계 35번째로 붐비는 공항이었다. 2024년 현재, KLIA는 국제선 연결 측면에서 런던 히드로 공항에 이어 세계에서 두 번째로 연결성이 높은 공항이며, 하네다 공항보다 앞선다.[168]

다른 주요 공항으로는 2019년에 900만 명 이상의 승객을 수송하며 말레이시아에서 두 번째로 붐비는 공항이자 동말레이시아에서 가장 붐비는 코타키나발루 국제공항과, 2023년에 약 680만 명의 승객을 수송한 페낭 국제공항 등이 있다.

8. 1. 4. 해상망



말레이시아는 세계에서 가장 중요한 해상 수송로 중 하나인 말라카 해협에 전략적으로 위치해 있다. 고도로 발달된 해운 부문을 자랑하는 말레이시아는 UNCTAD에 의해 해상 무역로 연결성 측면에서 세계 5위의 국가로 선정되었으며, 이는 독일과 네덜란드와 같은 선진 경제국보다 높은 순위이다.[169]

말레이시아는 세계에서 가장 분주한 항구 20곳에 포함된 2개의 항구를 가지고 있는데, 각각 포트클랑과 탄중 펠레파스 항으로, 싱가포르 항 다음으로 동남아시아에서 두 번째와 세 번째로 분주한 항구이다.

포트클랑은 말레이시아에서 가장 분주한 항구이며, 1,400만 TEU 이상을 처리하며 세계에서 12번째로 분주한 항구이다. 탄중 펠레파스 항은 말레이시아에서 두 번째로 분주한 항구이며, 1,040만 TEU 이상을 처리하며 세계에서 16번째로 분주한 항구이다.

8. 2. 에너지

말레이시아는 2022년 1월 기준으로 69억 배럴의 확인된 원유 매장량을 보유하고 있으며,[93] 이는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서 중국, 인도, 베트남에 이어 네 번째로 많은 매장량이다. 말레이시아 원유의 거의 대부분은 해상 유전에서 생산된다. 말레이시아의 기준 원유인 타피스 블렌드는 API 비중이 42.7°이고 황 함량이 중량비로 0.04%인 경질 저유황 원유이다.

말레이시아는 2021년 기준으로 87.8조 입방 피트(Tcf)의 확인된 천연 가스 매장량을 보유하고 있으며,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서 중국과 인도네시아에 이어 세 번째로 큰 천연 가스 매장량을 보유하고 있다.[94] 말레이시아 천연 가스 매장량의 절반 이상은 동부 지역, 특히 사라왁 해상에 위치해 있다.

말레이시아의 에너지 인프라 부문은 동남아시아 최대의 전력 회사인 테나가 나시오날이 주도하고 있다. 고객은 반도에 약 11,000km[160]의 송전선로로 연결된 420개 이상의 송전 변전소가 있는 국가 전력망을 통해 전기를 공급받는다.

2013년 말레이시아의 총 발전 용량은 29,728 MW를 넘어섰다. 총 발전량은 140,985.01 GWh였으며 총 전력 소비량은 116,087.51 GWh였다.[161]

말레이시아의 에너지 생산은 석유 매장량과 천연 가스 매장량에 힘입어 주로 석유와 천연 가스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이는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서 중국, 인도, 베트남 다음으로 네 번째로 큰 규모이다.[162]

말레이시아는 상당한 재생 에너지 자원을 보유하고 있으며, 재생 에너지 장려를 위한 아세안 지역에서 가장 진보된 법적 프레임워크 중 하나를 갖추고 있다.[163] 2021년 현재 말레이시아는 국제 시장에서 태양광 패널의 주요 생산국 중 하나이지만, 역설적으로 국내 발전에는 이를 완전히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164]

참조

[1] 웹사이트 World Economic Outlook Database, April 2022 https://www.imf.org/[...] International Monetary Fund 2022-04-20
[2] 웹사이트 World Bank Country and Lending Groups https://datahelpdesk[...] World Bank 2024-05-10
[3] 웹사이트 Population, total - Malaysia https://data.worldba[...] 2024-07-08
[4] 웹사이트 https://www.imf.org/[...]
[5] 웹사이트 WORLD ECONOMIC OUTLOOK 2022 OCT Countering the Cost-of-Living Crisis https://www.imf.org/[...] International Monetary Fund 2022-10-11
[6] 웹사이트 CIA World Factbook https://www.cia.gov/[...] 2024-10-21
[7] 웹사이트 CIA World Factbook https://www.cia.gov/[...] 2024-10-21
[8] 웹사이트 The World Factbook https://www.cia.gov/[...] Central Intelligence Agency 2024-10-21
[9] 웹사이트 Poverty headcount ratio at $6.85 a day (2017 PPP) (% of population) - Malaysia https://data.worldba[...] World Bank 2019-10-03
[10] 웹사이트 GINI index (World Bank estimate) https://data.worldba[...] World Bank 2023-05-16
[11] 웹사이트 Human Development Index (HDI) http://hdr.undp.org/[...] HDRO (Human Development Report Office) 2022-11-05
[12] 웹사이트 Inequality-adjusted Human Development Index (IHDI) https://web.archive.[...] HDRO (Human Development Report Office) 2022-11-05
[13] 웹사이트 Ease of Doing Business in Malaysia http://www.doingbusi[...] Doingbusiness.org 2017-11-24
[14] 웹사이트 Labor force, total - Malaysia https://data.worldba[...] World Bank 2024-10-21
[15] 웹사이트 Employment to population ratio, 15+, total (%) (national estimate) - Malaysia https://data.worldba[...] World Bank 2019-10-03
[16] 웹사이트 CIA World Factbook https://www.cia.gov/[...] 2024-10-21
[17] 웹사이트 Trade Performance 2021 https://web.archive.[...] Malaysia External Trade Development Corporation 2021-06-02
[18] 웹사이트 Trade Performance 2024 - MATRADE https://www.matrade.[...] 2024-10-24
[19] 웹사이트 Trade Performance 2024 - MATRADE https://www.matrade.[...] 2024-10-24
[20] 웹사이트 OEC - Malaysia (MYS) Exports, Imports, and Trade Partners https://web.archive.[...] 2019-03-24
[21] 웹사이트 Malaysia's FDI https://english.news[...] Xinhua 2024-02-16
[22] 웹사이트 S&P revises Malaysia's outlook to stable from negative, expects 2022 GDP growth to hit 6.1% https://theedgemalay[...] 2023-05-16
[23] 웹사이트 Moody's Affirms Malaysia's Sovereign Credit Rating At 'A3'; Outlook Stable https://www.mof.gov.[...] 2023-05-16
[24] 웹사이트 Malaysia https://www.fitchrat[...] 2023-05-16
[25] 웹사이트 Department of Statistics Malaysia: Salaries and Wages Survey Report 2022 https://www.dosm.gov[...] 2024-10-23
[26] 웹사이트 Report for Selected Countries and Subjects https://www.imf.org/[...] 2022-05-18
[27] 웹사이트 Regional Study on Labour Productivity in ASEAN https://asean.org/wp[...] 2022-01-09
[28] 웹사이트 The Global Competitiveness Report 2024 https://www.imd.org/[...] 2022-06-09
[29] 웹사이트 Global Innovation Index 2024 https://www.wipo.int[...] 2024-09-28
[30] 웹사이트 Malaysia - Trade (% Of GDP) https://data.worldba[...] 2024-06-20
[31] 웹사이트 Semiconductor Devices https://oec.world/en[...] 2024-06-20
[32] 웹사이트 Malaysia targets over $100 bln in semiconductor industry investment https://www.reuters.[...] 2024-06-20
[33] 웹사이트 Google to invest $2 billion in Malaysia and build data center to capture rising AI demand https://www.cnbc.com[...] 2024-05-30
[34] 웹사이트 Microsoft announces US$2.2 billion investment to fuel Malaysia's cloud and AI transformation https://news.microso[...] 2024-05-02
[35] 웹사이트 TikTok owner ByteDance to expand Malaysia data center footprint in $2.1bn AI deal https://www.datacent[...] 2024-06-20
[36] 웹사이트 Analyst: Malaysia a 'magnet' for data centers due to low likelihood of natural disasters, cheap electricity and land https://www.nst.com.[...] 2024-05-23
[37] 웹사이트 High-technology exports (current US$) https://data.worldba[...]
[38] 웹사이트 OEC - Palm Oil (HS92: 1511) Product Trade, Exporters and Importers http://atlas.media.m[...] 2017-08-19
[39] 웹사이트 Electronics Manufacturing in the Pacific Rim, World Technology Evaluation Center, Chapter 4: Malaysia http://www.wtec.org/[...] Wtec.org 1997-05
[40] 웹사이트 Malaysia, A Statist Economy http://www.infernalr[...] Infernalramblings.com
[41] 웹사이트 The Security of the Straits of Malacca and its implications to the Southeast Asia regional security http://www.pmo.gov.m[...] The Prime Minister's Office 2007-11-26
[42] 웹사이트 Tin Mining in Malaysia http://www.american.[...] American University 2007-11-14
[43] 웹사이트 BNM National Summary Data Page http://www.bnm.gov.m[...] Bank Negara Malaysia 2007-11-08
[44] 뉴스 The Way Forward http://www.pmo.gov.m[...] Prime Minister's Office 2008-11-17
[45] 웹사이트 Malaysia may be developed nation by 2018, says minister http://www.theedgema[...]
[46] 웹사이트 Launch of the New Industrial Master Plan 2030 (NIMP 2030) https://www.mida.gov[...] 2023-10-30
[47] 웹사이트 The World Factbook https://www.cia.gov/[...]
[48] 서적 Globalization and the Transformation of Foreign Economic Policy Ashgate Publishing, Ltd
[49] 서적 Principles of Economics Cengage Learning
[50] 웹사이트 COUNTRY COMPARISON :: GDP (PURCHASING POWER PARITY) https://www.cia.gov/[...] CIA
[51] 웹사이트 Household Income, Poverty and Household Expenditure https://www.ekonomi.[...] 2022-12-31
[52] 웹사이트 Malaysia got what it takes to be developed nation http://thestar.com.m[...] 2012-05-07
[53] 뉴스 22-07-2005: Ringgit depeg not likely to have immediate impact on sovereign, banks, corporates http://www.theedgeda[...]
[54] 뉴스 Malaysia says offshore ringgit trade not needed https://www.reuters.[...] 2007-03-19
[55] 뉴스 EPU:New Economic Policy http://www.epu.jpm.m[...] Economic Planning Unit, Prime Ministers Department Malaysia
[56] 뉴스 Jabatan Penerangan Rakyat: Dasar Ekonomy Baru http://pmr.peneranga[...] Ministry of Information Malaysia
[57] 뉴스 The New Economic Policy and Interethnic Relations in Malaysia http://www.unrisd.or[...] United Nations Research Institute for Social Development 2004-09-01
[58] 뉴스 Criticism of 30-Year-Old Affirmative-Action Policy Grows in Malaysia http://www.iht.com/a[...] 2001-01-05
[59] 뉴스 A Malaysian Economic Agenda http://www.keadilanr[...] Parti Keadilan Rakyat
[60] 뉴스 Malaysia opposition takes aim at affirmative action https://www.reuters.[...] 2008-03-11
[61] 뉴스 Bumi proviso removed to rope in more investments, says Najib http://thestar.com.m[...] 2009-04-22
[62] 뉴스 Foreign ownership in stockbroking firms raised to 70pc http://www.nst.com.m[...] 2009-06-30
[63] 뉴스 Malaysia 2007 fuel subsidies at RM40b: PM http://www.bt.com.bn[...]
[64] 웹사이트 Section 3: Federal Government Expenditure https://belanjawan.m[...] 2024
[65] 웹사이트 Prices for RON95 and diesel to be determined by float system - Nation {{!}} The Star Online http://www.thestar.c[...]
[66] 웹사이트 Establishment Post http://www.establish[...]
[67] 웹사이트 Government Implements Targeted Diesel Subsidy For Peninsular Malaysia Effective 10 June 2024 https://www.mof.gov.[...]
[68] 웹사이트 Rafizi: 'Once-in-generation' RON95 subsidy reform painful but needed for Malaysia's fiscal health https://www.malaymai[...]
[69] 웹사이트 Khazanah Nasional Berhad - Our Portfolio https://www.khazanah[...] 2023-12-31
[70] 웹사이트 Khazanah Nasional http://www.khazanah.[...]
[71] 웹사이트 EPF Records Distributable Income Of RM19.20 Billion For Q1 2024 https://www.kwsp.gov[...] 2024-06-12
[72] 웹사이트 World's largest pension funds return to growth https://www.wtwco.co[...] 2024-10-22
[73] 뉴스 EPF to double overseas investments http://www.btimes.co[...]
[74] 뉴스 EPF's Investment Income Increases To RM3.6 Billion in Q2 http://www.kwsp.gov.[...] Kumpulan Wang Simpanan Pekerja
[75] 뉴스 Eligibility to Invest http://www.asnb.com.[...] Amanah Saham Nasional Berhad 2008-06-09
[76] 뉴스 Growth, Structural Change, and Regional Inequality in Malaysia https://books.google[...] Ashgate
[77] 웹사이트 RMK12: Twelfth Malaysia Plan 2021-2025 https://rmke12.ekono[...] 2024-10-22
[78] 웹사이트 Report for Selected Countries and Subjects https://www.imf.org/[...] 2022-10-26
[79] 웹사이트 XE: Convert USD/MYR. United States Dollar to Malaysia Ringgit https://www.xe.com/c[...] 2024-10-22
[80] 웹사이트 BNM Stance on Ringgit Currency Derivatives Products in Offshore Market https://www.bnm.gov.[...] 2024-10-22
[81] 뉴스 Did the Malaysia Capital Controls Work? http://ksghome.harva[...]
[82] 뉴스 Malaysia's Economic Growth Moderating But Improvement in Second Half Expected http://www.asli.com.[...] Asian Strategy & Leadership Institute 2008-03-20
[83] 뉴스 Malaysia may liberalize ringgit if forex market 'vibrant' http://business.inqu[...] 2008-03-21
[84] 뉴스 All eyes on ringgit after PM's remarks http://www.btimes.co[...] Business Times Malaysia 2010-09-13
[85] 웹사이트 Malaysia https://2009-2017.st[...] State.gov 2010-07-14
[86] 웹사이트 ANZ Business http://www.anzbusine[...] 2015-04-04
[87] 웹사이트 Environment at a Glance 2004: Malaysia http://siteresources[...] World Bank 2008-07-31
[88] 웹사이트 TED Case Studies http://www1.american[...] 2015-04-04
[89] 웹사이트 USGS Manganese Production Statistics https://pubs.usgs.go[...] 2021-04-29
[90] 웹사이트 USGS Tin Production Statistics https://pubs.usgs.go[...] 2021-04-29
[91] 웹사이트 USGS Bauxite Production Statistics https://pubs.usgs.go[...] 2021-04-29
[92] 웹사이트 USGS Lime Production Statistics https://pubs.usgs.go[...] 2021-04-29
[93] 웹사이트 "M'sia has 15yrs of petroleum reserves left, can last up to 40 with right tech, investment {{!}} New Straits Times" https://www.nst.com.[...] 2023-03-29
[94] 웹사이트 EIA http://www.eia.gov/c[...] 2015-04-04
[95] 웹사이트 IMD competitiveness index http://www.imd.org/n[...] 2015-05-28
[96] 웹사이트 Big jump in Malaysia's ranking for foreign investments - the Rakyat Post - the Rakyat Post http://www.therakyat[...] 2015-07-13
[97] 웹사이트 Permudah Background http://www.pemudah.g[...]
[98] 웹사이트 Permudah Highlights http://www.pemudah.g[...]
[99] 웹사이트 Release of the Global Innovation Index 2020: Who Will Finance Innovation? https://www.wipo.int[...] 2021-09-02
[100] 웹사이트 Global Innovation Index 2019 https://www.wipo.int[...] 2021-09-02
[101] 웹사이트 RTD - Item https://ec.europa.eu[...] 2021-09-02
[102] 웹사이트 Global Innovation Index https://knowledge.in[...] 2013-10-28
[103] 웹사이트 Inland Revenue Board of Malaysia 2016 Taxation Rates http://www.hasil.gov[...] Inland Revenue Board of Malaysia
[104] 웹사이트 MySST https://www.mysst.cu[...] 2019-04-13
[105] 웹사이트 Malaysia becomes China's 3rd largest trade partner in Asia - Business - Chinadaily.com.cn http://www.chinadail[...] 2014-10-17
[106] 웹사이트 China, Malaysia target 60b trade volume[1]- Chinadaily.com.cn http://www.chinadail[...] 2014-10-17
[107] 웹사이트 Speeches by Prime Minister Lee Hsien Loong and Malaysian Prime Minister Najib Tun Razak at the official dinner at the Istana on 22 May 2009 https://web.archive.[...] 2014-10-26
[108] 웹사이트 Statistics Singapore - Trade with Major Trading Partners https://web.archive.[...] 2014-10-13
[109] 웹사이트 MalaysianInsider https://web.archive.[...] 2015-04-04
[110] 웹사이트 AgroJournal http://www.agrojourn[...] 2015-04-05
[111] 뉴스 Palm Oil Advances as Malaysia's Export Tax May Boost Shipments https://www.bloomber[...] 2013-01-03
[112] 뉴스 MPOB expects CPO production to increase to 19 million tonnes this year http://biz.thestar.c[...] 2013-01-15
[113] 웹사이트 MALAYSIA: Stagnating Palm Oil Yields Impede Growth https://web.archive.[...] USDA Foreign Agricultural Service 2012-12-11
[114] 웹사이트 Malaysia: economic transformation advances oil palm industry http://www.aocs.org/[...] American Oil Chemists' Society 2012-09
[115] 뉴스 Exclusive: EU risks 'trade war' with Malaysia over palm oil - Mahathir https://www.reuters.[...] 2019-03-29
[116] 웹사이트 E&E sector presents new key growth areas with the rise of tech and high-value sectors https://www.mida.gov[...] 2024-10-21
[117] 웹사이트 MIDA https://web.archive.[...] 2015-04-05
[118] 뉴스 NYTimes https://www.nytimes.[...] 2014-12-12
[119] 웹사이트 Jinkosolar https://web.archive.[...] 2015-07-25
[120] 웹사이트 eximbank https://web.archive.[...] 2015-07-26
[121] 웹사이트 Ohio http://www.greentech[...] 2015-07-26
[122] 웹사이트 PV Tech https://web.archive.[...] 2015-07-25
[123] 웹사이트 The Automotive Industry https://web.archive.[...] mai.org.my 2017-05-20
[124] 웹사이트 Malaysia automotive association https://web.archive.[...] 2015-04-05
[125] 웹사이트 Astonishing facts https://web.archive.[...] proton.com 2007-08-05
[126] 웹사이트 Malaysian Unicorn Carsome Raises $290 Million To Fund Southeast Asia Expansion Plans https://www.forbes.c[...] 2022-04-27
[127] 웹사이트 Statistics https://web.archive.[...] 2015-04-05
[128] 웹사이트 GFCI https://web.archive.[...] 2015-04-05
[129] 웹사이트 Theconversation http://theconversati[...] 2013-11-11
[130] 웹사이트 Theconversation http://theconversati[...] 2014-09-18
[131] 웹사이트 Institutional Investor https://web.archive.[...] 2015-04-11
[132] 웹사이트 The Star http://www.thestar.c[...] 2015-04-11
[133] 웹사이트 HomilyChart https://web.archive.[...] 2015-04-12
[134] 웹사이트 Moody's https://www.moodys.c[...] 2014-06-05
[135] 웹사이트 Overview https://www.bursamal[...] 2022-03-30
[136] 웹사이트 Bursa Malaysia history https://web.archive.[...]
[137] 웹사이트 Malaysia Tourism Statistics https://data.tourism[...] 2024-10-21
[138] 문서 Malaysia Tourism Key Performance Indicators 2023 https://www.tourism.[...]
[139] 문서 dtxtq4w60xqpw.cloudfront.net/sites/all/files/pdf/malaysia_country_report_2014.pdf http://dtxtq4w60xqpw[...]
[140] 웹사이트 Most Visited Countries 2024 https://www.datapand[...] 2024-10-21
[141] 웹사이트 Tourism Industry In Malaysia The Experience and Challenge https://www.academia[...] 2015-04-05
[142] 웹사이트 Tourupia http://www.touropia.[...] 2015-04-05
[143] 웹사이트 Healthcare Traveller Statistics https://www.mhtc.org[...] 2024-10-21
[144] 웹사이트 Attracting more medical tourists to Malaysia https://www.thestar.[...] 2024-10-21
[145] 간행물 Medical Tourism Destination SWOT Analysis: A Case Study of Malaysia, Thailand, Singapore and India 2014
[146] 웹사이트 NomadCapitalist http://nomadcapitali[...] 2014-01-05
[147] 웹사이트 CNBC https://www.cnbc.com[...] 2014-03-14
[148] 웹사이트 MTQUA http://www.mtqua.org[...] 2015-04-07
[149] 웹사이트 Reports {{!}} PETRONAS Global https://www.petronas[...] 2024-10-21
[150] 웹사이트 Malaysia further reduces dependency on Petronas dividends in 2024 to grow non-petroleum based revenue https://www.malaymai[...] 2024-10-21
[151] 뉴스 Petronas Corporate Milestones 1974–2002 http://www.petronas.[...] 2008-06-28
[152] 뉴스 Oil and Gas opportunity in Malaysia http://www.malaysiam[...] 2005
[153] 웹사이트 Malaysia's economy to grow by 4-5% this year, central bank says – GE63 https://ge63.com/mal[...] 2023-04-02
[154] 웹사이트 Why Malaysia http://www.mida.gov.[...] Malaysia Industrial Development Authority 2011-08-20
[155] 웹사이트 World Bank Open Data https://data.worldba[...] 2024-10-21
[156] 웹사이트 Malaysia Number of Subscriber Fixed Line, 1960 – 2024 {{!}} CEIC Data https://www.ceicdata[...] 2024-10-21
[157] 웹사이트 World Bank Open Data https://data.worldba[...] 2024-10-21
[158] 웹사이트 Infrastructure and Rural Development in Malaysia http://www.cirdap.or[...] Centre on Integrated Rural Development for Asia and the Pacific 2011-05-25
[159] 웹사이트 Malaysian Telecommunications Overview http://www1.american[...] American University 2011-05-25
[160] 웹사이트 Tenaga Nasional Berhad 500kV Transmission System, Phase 1 http://www.ranhill.c[...] Ranhill Berhad 2009-05-23
[161] 웹사이트 Energy Commission http://www.st.gov.my[...] 2015-04-11
[162] 웹사이트 Renewable Energy and Kyoto Protocol: Adoption in Malaysia http://ppkas.unimap.[...] Universiti Malaysia Perlis 2013-10-15
[163] 웹사이트 Malaysia: How to Scale Up Investment in Renewable Energy https://www.research[...] ASEAN Centre for Energy 2020
[164] 간행물 The ASEAN climate and energy paradox 2021-12
[165] 웹사이트 Transport and infrastructure in Malaysia https://www.worlddat[...] 2024-10-21
[166] 서적 Infrastructure strategies in East Asia: the untold story https://books.google[...] The World Bank
[167] 웹사이트 Fadillah says Pan Borneo Highway to be built under Ukas initiative http://www.theborneo[...] 2014-10-17
[168] 웹사이트 OAG Megahubs 2024: London Heathrow remains world's number one internationally connected airport https://moodiedavitt[...] 2024-10-21
[169] 웹사이트 7 Major Ports in Malaysia https://www.marinein[...] 2024-10-21
[170] 문서 European Free Trade Association - Malaysia EFTA.int
[171] 웹사이트 MIDA http://www.mida.gov.[...] 2015-04-04
[172] 웹사이트 2012 Top 25 Foreign Direct Investment (FDI) Confidence Index Countries http://1-million-dol[...] 2011-12-08
[173] 웹사이트 The 2023 Kearney Foreign Direct Investment Confidence Index: Cautious optimism https://www.kearney.[...] 2024-03-27
[174] 웹사이트 Fortune Global 500 List 2022: See Who Made It https://fortune.com/[...] 2022-12-28
[175] 웹사이트 The Global 2000 2021 https://www.forbes.c[...] 2022-03-22
[176] 웹인용 World Economic Outlook Database, October 2021 https://www.imf.org/[...] 국제 통화 기금 2020-10-17
[177] 저널 Global Economic Prospects, June 2020 https://openknowledg[...] 세계은행 2020-06-10
[178] 웹인용 The Global Competitiveness Report 2019 http://www3.weforum.[...] 2020-04-16
[179] 웹인용 말레이시아 조세제도 요약, 2021 https://premiatnc.co[...]
[180] 웹인용 Electronics Manufacturing in the Pacific Rim, World Technology Evaluation Center, Chapter 4: Malaysia http://www.wtec.org/[...] Wtec.org 2010-11-01
[181] 웹인용 Malaysia, A Statist Economy http://www.infernalr[...] Infernalramblings.com 2010-11-01
[182] 웹인용 High-technology exports (current US$) - Singapore, Malaysia, Thailand, Indonesia | Data https://data.worldba[...]
[183] 웹인용 Archived copy http://atlas.media.m[...] 2017-08-19
[184] 웹인용 Bantuan Prihatin Nasional https://bsh.hasil.go[...] 2020-04-16
[185] 웹인용 Overview of Goods and Services Tax (GST) in Malaysia https://www.sfconsul[...] 2018-07-16
[186] 저널 말레이시아 제2차 동방정책: 지속과 변화 그리고 새로운 도전 https://www.semantic[...]
[187] 웹사이트 The Security of the Straits of Malacca and its implications to the Southeast Asia regional security http://www.pmo.gov.m[...] The Prime Minister's Office 2007-11-26
[188] 웹사이트 Tin Mining in Malaysia http://www.american.[...] American University 2007-11-14
[189] 웹사이트 BNM National Summary Data Page http://www.bnm.gov.m[...] Bank Negara Malaysia 2007-11-08
[190] 뉴스 The Way Forward http://www.pmo.gov.m[...] Prime Minister's Office 2013-04-12
[191] 웹사이트 Malaysia may be developed nation by 2018, says minister http://www.theedgema[...]
[192] 웹인용 The World Factbook https://www.cia.gov/[...] 2015-03-03
[193] 서적 Globalization and the Transformation of Foreign Economic Policy https://archive.org/[...] Ashgate Publishing, Ltd
[194] 서적 Principles of Economics
[195] 웹인용 COUNTRY COMPARISON :: GDP (PURCHASING POWER PARITY) https://www.cia.gov/[...] CIA 2010-10-26
[196] 웹인용 "코로나 팬데믹 기간 말레이시아 기업 1만개 이상 파산" https://n.news.naver[...]
[197] 뉴스 22-07-2005: Ringgit depeg not likely to have immediate impact on sovereign, banks, corporates http://www.theedgeda[...] 2008-03-10
[198] 뉴스 Malaysia says offshore ringgit trade not needed https://www.reuters.[...] 2007-03-19
[199] 뉴스 Malaysia 2007 fuel subsidies at RM40b: PM http://www.bt.com.bn[...]
[200] 뉴스 Economic numbers bode well for M'sia Business Times 2009-09-22
[201] 웹인용 Prices for RON95 and diesel to be determined by float system - Nation {{!}} The Star Online http://www.thestar.c[...] 2017-08-24
[202] 웹인용 Establishment Post http://www.establish[...] 2015-04-04
[203] 웹인용 XE: Convert USD/MYR. United States Dollar to Malaysia Ringgit https://www.xe.com/c[...] 2020-01-16
[204] 뉴스 Did the Malaysia Capital Controls Work? http://ksghome.harva[...]
[205] 뉴스 Malaysia's Economic Growth Moderating But Improvement in Second Half Expected http://www.asli.com.[...] Asian Strategy & Leadership Institute 2008-03-20
[206] 뉴스 Malaysia may liberalize ringgit if forex market 'vibrant' http://business.inqu[...] 2008-03-21
[207] 웹인용 Malaysia https://2009-2017.st[...] State.gov 2010-09-14
[208] 웹인용 ANZ Business http://www.anzbusine[...] 2015-04-04
[209] 웹인용 Environment at a Glance 2004: Malaysia http://siteresources[...] World Bank 2008-07-31
[210] 웹인용 TED Case Studies http://www1.american[...] 2015-04-04
[211] 간행물 USGS Manganese Production Statistics https://pubs.usgs.go[...]
[212] 간행물 USGS Tin Production Statistics https://pubs.usgs.go[...]
[213] 간행물 USGS Bauxite Production Statistics https://pubs.usgs.go[...]
[214] 간행물 USGS Lime Production Statistics https://pubs.usgs.go[...]
[215] 웹인용 IMD competitiveness index http://www.imd.org/n[...] 2015-05-28
[216] 웹인용 말레이시아 법인 요약, 2021 https://premiatnc.co[...]
[217] 웹인용 Ranking of economies - Doing Business - World Bank Group http://www.doingbusi[...] 2014-10-26
[218] 웹인용 Economy Rankings http://www.doingbusi[...] The World Bank 2012-10-04
[219] 뉴스 Malaysia ranks 4th for investor protection http://www.btimes.co[...]
[220] 웹인용 Ease of Doing Business Report http://www.doingbusi[...]
[221] 웹인용 MSC Malaysia - Why MSC Status? http://www.mscmalays[...] MSC Malaysia 2016-07-12
[222] 웹인용 Strategy consulting-business strategy-Salo Impera-Malaysia-Singapore http://www.saloimper[...] 2016-07-14
[223] 웹인용 Archived copy http://www.therakyat[...] 2015-07-13
[224] 웹사이트 Permudah Background http://www.pemudah.g[...] 2008-10-23
[225] 웹사이트 Permudah Highlights http://www.pemudah.g[...] 2008-12-01
[226] 웹인용 Release of the Global Innovation Index 2020: Who Will Finance Innovation? https://www.wipo.int[...] 2021-09-02
[227] 웹인용 Global Innovation Index 2019 https://www.wipo.int[...] 2021-09-02
[228] 웹인용 RTD - Item https://ec.europa.eu[...] 2021-09-02
[229] 웹인용 Global Innovation Index https://knowledge.in[...] 2021-09-02
[230] 웹인용 Inland Revenue Board of Malaysia 2016 Taxation Rates http://www.hasil.gov[...] Inland Revenue Board of Malaysia
[231] 웹인용 Archived copy https://www.mysst.cu[...] 2019-04-13
[232] 웹인용 AgroJournal http://www.agrojourn[...] 2015-04-05
[233] 웹인용 MalaysianInsider http://www.themalays[...] 2015-04-05
[234] 웹인용 Archived copy http://corporate.tou[...] 2016-01-09
[235] 웹사이트 http://dtxtq4w60xqpw[...]
[236] 웹인용 Archived copy http://www.thestar.c[...] 2015-04-05
[237] 저널 Tourism Industry In Malaysia The Experience and Challenge https://www.academia[...]
[238] 웹인용 Tourupia http://www.touropia.[...] 2015-04-05
[239] 웹인용 The Star http://www.thestar.c[...] 2015-04-05
[240] 저널 Medical Tourism Destination SWOT Analysis: A Case Study of Malaysia, Thailand, Singapore and India 2014
[241] 웹인용 NomadCapitalist http://nomadcapitali[...] 2014-01-05
[242] 웹인용 CNBC https://www.cnbc.com[...] 2014-03-14
[243] 웹인용 MTQUA http://www.mtqua.org[...] 2015-04-07
[244] 웹인용 MIDA http://www.mida.gov.[...] 2015-04-04
[245] 웹인용 2012 Top 25 Foreign Direct Investment (FDI) Confidence Index Countries http://1-million-dol[...] 2011-12-08
[246] 웹인용 404 Page - Kearney https://www.kearne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